
'4세 고시'·'7세 고시'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과열된 우리나라 영유아 사교육 시장에 대해 외신도 주목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16일(현지시간) "한국의 학문적 경쟁이 6세 미만의 절반을 입시 학원으로 몰아넣고 있다"고 전했다.
FT는 지난 13일 한국 교육 당국의 통계를 인용해 한국 6세 미만 영유아 중 절반에 가까운 47.6%가 사교육을 받고 있다며 한국의 과한 사교육비 지출이 한국의 저출산 문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매체는 한국의 '학원'(hagwon)에 대해 "영어, 수학, 과학, 글쓰기 등의 과목에서 수업을 제공하는" 기관이라고 소개하며 한국에서 매우 큰 산업이라고 전했다.
한국의 부모들이 자녀가 최고의 대학과 대기업에서의 고소득 일자리를 얻기 위해 강도 높은 경쟁에서 앞서나갈 수 있도록 이러한 학원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또 통계는 사교육 광풍이 영유아에게까지 내려오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영유아를 위한 영어학원(영어유치원)에 들어가기 위해 레벨 테스트를 준비하는 소위 '4세 고시'·'7세 고시'라는 말이 돌 만큼 영유아 사교육 시장이 커지고 있다.
사교육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부모들의 비용 부담도 더 커져 결국 젊은 층이 출산을 기피하는 이유 중 하나가 됐다고 FT는 짚었다. 전 세계 최저 수준인 한국의 출산율에 사교육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이 매체는 한국의 부모들도 사교육 부담에 불만이 크지만 자신의 자녀가 뒤떨어지는 것은 두려워 결국 사교육을 택한다고 지적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