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칩' 뇌에 심은 환자, "게임 실력 발전"

입력 2025-03-24 09:01  



전신마비 환자가 일론 머스크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개발한 컴퓨터 칩을 뇌에 이식받아 1년째 '생각만으로' 체스 등 각종 게임을 즐기며 지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영국 BBC는 23일(현지시간) 뉴럴링크의 첫 시술 대상자인 놀런드 아르보(30)의 근황을 소개했다.

아르보는 다이빙 사고로 어깨 아래 모든 신체가 마비됐다. 그는 2024년 1월 뉴럴링크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장치 '텔레파시'를 뇌에 이식받았다. 이는 뉴럴링크의 첫 번째 뇌 임플란트 사례였다.

같은 해 3월 뉴럴링크는 아르보가 휠체어에 앉아 손발은 그대로 두고 노트북 마우스 커서를 조작해 체스를 두는 영상을 공개했다.

BCI 장치를 두개골에 이식해 미세한 전극을 통해 신경세포(뉴런)와 신호를 주고받아 컴퓨터를 조작한 것이다.

아르보는 수술한 지 1년이 지나며 조작 능력이 더 향상됐다고 전했다.

그는 "나는 사고 이후 포기해야 했던 게임을 하면서 성장했다"며 "이제는 게임으로 친구들을 꺾기도 한다. 불가능했던 일이 일어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이 장치로 휠체어나 휴머노이드 로봇까지도 조작할 수 있게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모든 것이 순조롭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한 번은 칩과 뇌 사이 연결이 끊겨 컴퓨터 조작이 불가능해졌다.

아르보는 "정말 속상했다"면서 "다시 뉴럴링크를 사용할 수 있을지 알 수 없었다"고 전했다.

이후 뉴럴링크가 소프트웨어를 조정하면서 문제는 해결됐지만, 전문가들이 제기한 기술적 한계 우려를 보여주는 사례였다고 가디언은 지적했다.

아르보는 6년간 뉴럴링크의 실험에 참여하기로 동의했지만, 그 이후는 불확실하다.

이 기술이 인간의 내밀한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서섹스대 신경과학 교수인 애닐 세스는 BBC에 "두뇌의 활동을 추출한다는 것은 우리의 행동만이 아니라 생각, 믿음, 감정까지도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