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하락세를 이어가던 전기차 업체 테슬라 주가가 24일(현지시간) 12% 급등 마감했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11.93% 급등한 278.39달러(40만8천620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주가는 약 4% 오른 258.08달러에 거래를 시작하더니 상승 폭을 더 확대해 급등 마감했다. 지난해 미 대선 다음날인 11월 6일(14.75% 급등)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 마감이다.
지난해 12월 18일(488.54달러) 최고점을 찍은 테슬라 주가는 이후 8주 연속 하락해 반토막이 났다.
미 트럼프 대통령이 개시한 관세전쟁 격화와 경기침체 우려에 더해 최근 정치 행보를 이어가는 일론 머스크 CEO에 대해 전 세계 소비자들의 반감이 커진 결과다.
시가총액도 8천954억 달러로 불어나 9천억 달러에 바짝 다가섰다.
최근 주가 하락에 따른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데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오는 4월 2일 발표 예정된 상호관세 계획에 대해 일부 국가 관세 부과를 면제할 수 있다고 시사하면서 테슬라 주가가 치솟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상호관세의 일부 면제 가능성에 대해 "나는 많은 국가에 면제를 해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음달 2일 상호 관세를 발표하기 전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먼저 발표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머스크 CEO가 지난 20일 직원 전체 회의에서 회사가 험난한 상황을 겪고 있지만 테슬라의 미래가 밝다며 주식을 팔지 말라고 한 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테슬라는 이날 중국 전기차 업체 BYD에 매출 1위 자리를 뺏겼다.
BYD는 이날 늦게 제출한 보고서에서 지난해 1년간 매출이 전년 대비 29% 증가한 7천770억 위안(1천69억 달러·157조원)으로, 1천억 달러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시장 예상치인 7천660억 위안을 웃도는 매출로, 같은 기간 테슬라의 매출 977억 달러를 뛰어넘었다.
순이익도 전년 대비 34% 증가한 403억 위안(55억 달러)으로, 월가 예상치(395억 위안)을 넘어섰다. 다만 테슬라의 순이익 76억 달러에는 미치지 못했다.
BYD는 지난해 176만대의 전기차를 출하해 테슬라(179만대)보다 적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승용차를 포함한 차량 인도량은 427만대를 기록했다.
BYD는 올해 첫 두 달 동안 판매량이 전년 대비 93% 증가한 62만3천300대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테슬라는 5개월째 중국 출하량이 전년 대비 감소하고 있지만 BYD는 중국 판매가 늘어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