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타로부터 인수 제안을 받은 국내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 스타트업 퓨리오사AI가 이를 거절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인수 금액만 1조2천억원으로 추정된 만큼 이 업체가 자체 자금 확보를 하며 국산 AI 팹리스로서 자력 생존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메타 측과 사내 구성원들에게 인수 협상 결렬 사실을 공지했다.
신경망처리장치(NPU) 레니게이드에 대해 최근 수행한 성능 평가가 독자 생존을 자신할 근거가 됐다는 후문이다. 레니게이드는 하반기 본격 양산을 목표로 한다.
메타에 인수되면 범용 AI 칩보다는 메타의 AI 모델·서비스 전용의 칩 설계에 국한될 가능성이 있어 퓨리오사AI 창업자들이 추구하는 사업 방향과 달리 흘러갈 우려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자본금이다. AI 반도체 팹리스는 향후 설계와 실증, 양산에 천문학적 액수가 필요하다. 퓨리오사AI는 현재 산업은행 등으로부터 700억원 투자를 유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도 이 회사 투자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도 벤처캐피털사가 있지만 단기적 수익 창출도 어려운데다 대규모 자금까지 필요한 이 분야에 나설 투자 주체가 드물다는 국내 반도체 업계 한계로 꼽힌다.
결국 AI 반도체 기업들이 정부 지원 사업에 귀를 기울일 수밖에 없다.
지난해 국산 NPU가 AI 학습에 유용하지 않고 AI 추론에만 특화된 '반쪽' 반도체라는 인식이 정부 측에 퍼져 정부 지원이 시급한 업계에 위기감이 커졌다.
하지만, 퓨리오사AI의 메타 인수설이 불거지면서 국내 NPU 업계의 저력을 입증했다. 핵심 기술 보유 스타트업인 '딥테크' 기업에 지원을 강조해온 정부가 국산 NPU에 다시 관심을 쏟는 계기가 됐다.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에서 국산 NPU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당국 관계자는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계획에 2028년부터 국내 NPU 업계가 개발한 학습용 AI 칩을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올해부터 2027년까지 학습용 AI 칩에 대한 지원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AI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학습용 AI 반도체 개발 지원도 필요하겠지만 추론용 AI 칩 시장이 커지고 있어 국내 NPU 업계에 기회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