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중 부실 우려가 있는 사업장 규모가 작년 9월 말 기준 2조6천400억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9월 말 기준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이 55조8천억으로 전 분기 대비 5천억원 줄었다.
금융권별로는 보험사들 투자 잔액이 30조4천억원(54.3%)으로 가장 많았고 은행 12조원(21.5%), 증권 7조7천억원(13.8%), 상호금융 3조6천억원(6.5%), 여전 2조원(3.6%), 저축은행 1천억원(0.2%) 등 이었다.
북미가 34조1천억원(61.1%)으로 가장 많고, 유럽 10조8천억원(19.4%), 아시아 3조8천억원(6.8%), 기타 및 복수지역 7조1천억원(12.7%) 등 순이었다.
금융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3천억원 중 2조6천400억원(7.71%)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기한이익상실은 이자·원금 미지급이나 담보 가치 부족 등으로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이다.
작년 3분기에만 EOD 규모가 400억원 늘어나는 등 EOD 규모는 계속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EOD가 발생했다고 투자금을 손실 보는 건 아니며 투자자 간 대출 조건 조정, 만기 연장 등으로 해결할 수 있고, 자산 매각 시 배분 순위에 따라 투자금 일부 또는 전액을 회수할 수도 있다.
금감원은 "통화정책 긴축 완화에도 불구하고 미국 대선 전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해외 부동산 시장의 개선이 지연되고 있다"며 "특히 오피스 시장은 구조적 요인(유연근무 확산 등)과 맞물려 공실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불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금융회사는 오피스 투자자산을 중심으로 손실 확대 가능성이 높지만,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손실흡수능력도 충분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작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