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황&이슈

美 증시↑...트럼프 관세 유연성 기대감-[글로벌 시황]

입력 2025-04-15 09:32   수정 2025-04-15 09:33



글로벌 마감 시황 전해드립니다.

(3대 지수) 오늘 장 미국 증시, 일제히 상승했습니다. 지난 주말 사이, 트럼프 행정부가 스마트폰과 컴퓨터, 반도체 등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소식이 있었죠.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와 관련해 유연한 태도를 보이는 건 맞지만, 오늘은 또 의약품에 대해선 조만간 관세가 부과될 거라 밝혔고요. 자동차 부품과 관련한 관세는 또 일시적으로 면제하겠다는 걸 시사하면서, 여전히 미국의 관세 정책은 모두의 혼란을 불러오고 있습니다. 오늘 다우 지수는 0.78% 상승했고요. 나스닥 지수도 0.64%, S&P 500 지수도 0.79% 상승했습니다.

(섹터) 섹터별 움직임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오늘 임의소비재주를 제외하고 일제히 상승한 모습 확인할 수 있는데요. 앞서 전해드린 대로,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부품과 관련한 관세를 면제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자, GM과 포드가 3%, 4% 급등했습니다. 하지만 아마존이 1%대 하락하면서, 임의소비재주 역시 0.1% 밀렸고요. 호실적을 발표한 골드만삭스가 오늘 2% 가까이 상승했죠. 금융주 역시 1% 넘게 상승했습니다. 이어서 오늘 애플, 인텔, 팔란티어가 좋은 흐름 보이며, 기술주가 0.63% 올랐고요. 부동산주가 2% 넘게 상승하며,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시총 상위) 시총 상위 종목들의 흐름은 오늘 어땠을까요. 오늘은 시총 1위 애플의 상승률이 눈에 띄는데요. 관세가 면제될 수 있다는 기대감에 오늘 장 초반부터 좋은 흐름을 보였었죠. 올해 1분기 아이폰 출하량도 지난해 대비 10% 늘렸는데, 이는 수요 증가보다는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되는데요. 오늘 애플은 장중 7%까지 급등했지만, 2% 상승했습니다. 엔비디아는 향후 4년간, 미국에서 최대 5천억 달러 규모의 AI 인프라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주가는 오늘 약보합권에 거래됐고요. 오늘 아마존이 1% 하락하며, 알파벳과 시총 순위가 뒤바뀌었고, 테슬라는 강보합권에 거래됐습니다.

(유럽) 유럽증시 역시 오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연성 발언에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다만 골드만삭스에서는 유로스톡스 600 지수의 12개월 전망을 570에서 520으로 2주 만에 다시 하향 조정하기도 했는데요. 오늘 유로스톡스 600 지수는 2.69% 상승했고요. 독일 닥스 지수는 2.85% 상승했고 프랑스 꺄끄 지수도 2.37% 상승했습니다.
(미국채) 오늘 미국 국채 시장도 마찬가지로, 혼란스러운 관세 정책을 주시하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래도 국채 시장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에 유연성을 보인 점을 긍정적으로 여기며,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됐다고 판단했는데요. 오늘 10년물 국채금리는 뉴욕 연은에서 집계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1년 반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자, 잠시 튀어 오르기도 했습니다. 오늘 10년물 국채금리는 4.38%에 거래됐고요. 2년물 국채금리는 3.85%에 거래됐습니다.

(환율) 오늘 외환 시장 역시 미국의 관세 정책을 눈 여겨 보고 있지만, 여전히 달러 약세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달러 인덱스, 여전히 100선 아래에 머물고 있는데요. 불확실한 관세 정책이 결국 미국의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시각을 더하고 있고, 외환시장에서 이러한 점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오늘 엔달러 환율은 143엔 초반에 거래됐고요. 원 달러 환율은 1천 422원에 거래됐습니다. 역외환율에서는 1천 419원에 거래됐습니다.

(금) 금 선물은, 지난 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뒤, 오늘은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간 모습입니다. TD증권에서는 “미국이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 면제가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완화시키겠지만, 그래도 달러 약세로 금 선물 수요는 늘어날 거”라 전망했고요. 골드만삭스 역시 올해 연말까지, 금 선물 가격이 3천 700달러로 오를 거라 예측했습니다. 오늘 금 선물은 3천 228달러에 거래됐습니다.

마지막으로 내일 장 체크 포인트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내일은 미국의 3월 수출입 물가지수가 공개될 예정입니다. 이어서 미국의 4월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의 제조업 지수도 발표될 예정이고요. 뱅크오브아메리카, 씨티그룹 등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글로벌 마감 시황이었습니다.

김예림 외신캐스터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