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9일부터 2284포인트를 찍은 후 5일 연속 강한 반등이 나왔으며, 이는 연기금이 주도함.
- 외국인은 아직 매수세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반도체 관세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함.
-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와 의약품과 같은 국가 안보 관련 사업들을 미국 내로 이전시킬 가능성이 큼.
- 이러한 상황에서 상호관세 협상이 빠르게 진행되는 국가들로부터 힌트를 얻어 한국의 산업 관세 협상도 본격화되어야 함.
- 관세 변화가 시장의 방향성을 바꿀 수 있으며, 1분기 실적을 바탕으로 하반기까지 긍정적인 효과를 지닐 수 있는 업종들은 여전히 눈여겨볼 만함.
- 반도체, 화장품, 음식료 등의 업종은 관세 부과가 없다면 실적이 더욱 좋아질 가능성이 높음.
● 연기금이 주도하는 주식시장, 향후 전망은?
지난 4월 9일 2284포인트를 찍은 후 5거래일 연속 강한 반등장이 연출됐다. 이 반등장을 이끈 주역은 연기금으로 외국인은 아직 적극적 매수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반도체 관세를 둘러싼 불확실성은 여전히 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 안보와 관련된 사업들을 미국내로 이전시킬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따라서 시장은 상호관세 협상이 빠르게 진행되는 국가들로부터 힌트를 얻어 한국의 산업 관세 협상도 본격화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관세 변화가 시장의 방향성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1분기 실적을 바탕으로 하반기까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업종들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반도체, 화장품, 음식료 등의 업종은 관세 부과가 없다면 실적 개선 추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 본 기사는 한국경제TV, 네이버클라우드, 팀벨 3사가 공동 연구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을 통해 생방송을 실시간으로 텍스트화 한 후 핵심만 간추려 작성됐습니다. 더 많은 콘텐츠는 위 생방송 원문 보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디지털사업부 와우퀵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