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세계 명품 판매가 주춤하면서 샤넬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30% 급감했다.
샤넬의 지난해 매출액이 187억 달러(26조1천억원)로 전년보다 4.3%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45억 달러(6조3천억원)로 30% 줄었다고 밝혔다고 20일(현지시간) AFP·블룸버그 통신과 파이낸셜타임스(FT)이 보도했다. 순이익은 28% 감소한 34억 달러(4조7천억원)로 집계됐다.
샤넬의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줄어든 것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매장 문을 닫았던 2020년 이후 처음이다.
특히 중국 등 아시아 지역 매출이 92억 달러(12조8천억원)로 전년보다 7.1% 줄어 전체 매출 감소를 이끌었다. 중국 쇼핑객들이 고가 제품 구매를 줄여 명품시장 매출이 정체된 상황이다.
리나 네어 샤넬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에서 "어려운 거시경제 환경이 일부 시장의 매출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혼란을 일으키기 이전의 실적으로, 올해도 시장 환경은 좋지 않다.
그러나 샤넬은 지난해 18억 달러(약 2조5천억원)에 달했던 자본지출 규모를 유지할 방침이다. 지난해 자본지출은 2023년보다 43% 증가한 수준이었다.
샤넬은 올해 48개 매장을 늘릴 계획이며 그중 절반 가까이는 미국과 중국에 연다. 이밖에 멕시코, 인도, 캐나다에도 매장을 낸다.
샤넬은 최근 수년간 급격한 가격 인상을 단행해왔다.
샤넬 클래식 플랩백 가격은 2019년 이후 두 배 이상으로 올라 1만 유로(약 1천560만원)에 달한다고 HSBC 은행 분석가들이 밝혔다. 이는 명품 평균 가격 상승률 50%보다 높은 수준이다.
다만 필립 블롱디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가격 인상이 매출 감소로 이어진 것은 아니라고 반박했다. 그는 지난해 샤넬의 패션 제품 평균 가격 인상률은 약 3%로, 올해도 물가상승률에 따라 인상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