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하는 대규모 감세 법안이 미국의 재정 적자를 키울 것이란 우려에 국채 금리가 오르자 뉴욕증시가 하락으로 마감했다.
21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16.80포인트(-1.91%) 포인트 내린 41,860.44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95.85포인트(-1.61%) 내린 5,844.6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저장보다 270.07포인트(-1.41%) 내린 18,872.64에 각각 마감했다.
이날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가 연방 정부 부채를 더욱 늘릴 것이라는 불안감에 뛴 국채 수익률로 하락 압력을 받았다.
미국의 20년물 입찰이 부진했던 점도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 이후 불안감을 더했다.
이날 재무부가 실시한 160억 달러의 20년물 입찰에서는 수요 부진이 확인됐다.
국채 수익률은 큰 폭으로 올랐다.
뉴욕 채권시장에서 오후 3시(현지시간) 기준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전장보다 11.5bp(1bp=0.01%포인트(%p)) 급등해 4.6%에 육박했다.
이는 지난 2월 12일 이후 최고치다. 30년물은 12.2bp 치솟은 5.089%로 지난 2023년 10월 25일 이후 가장 높았다.
국채금리가 오르면 기업들이 회사채를 발행하거나 대출을 받을 때 부담해야하는 금리가 오르고 이는 실적 악화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기술주들은 대체로 하락했다. 아마존(-1.45%), 엔비디아(-1.92%), 마이크로소프트(-1.22%), 테슬라(-2.68%) 등이 크게 하락했다.
애플은 2.31% 하락했다. 챗GPT개발사 오픈AI가 이날 아이폰을 디자인한 애플의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가 설립한 AI 기기 개발 스타트업 ‘io’를 인수한다고 발표한 게 영향을 미쳤다. 오픈AI는 스타트업 io를 전액 주식 거래로 인수하기로 했으며, 이는 거의 65억달러로 오픈AI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다.
예상보다 약한 실적에 유통업체 타겟은 5.22% 하락했다. 캐나다구스의 주가는 기대 이상의 실적에 19.51% 급등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