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금 근로 일자리 중 새롭게 생긴 일자리가 11분기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일자리는 보통 기업체 생성이나 사업 확장으로 늘어나는데 경제 활력이 감소하며 이 역시 줄어든 것이다.
특히 건설·제조업 및 내수 분야에서 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새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중 신규 일자리는 244만4천개였다. 2018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은 수치다.
전년의 255만2천개와 비교하면 1년 새 10만8천개 감소했다. 2022년 2분기 이후 11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신규 일자리는 해당 분기 기업체가 생기거나 기업 내 사업확장 등으로 새롭게 생긴 일자리를 뜻한다. 신규 일자리가 줄었다는 것은 기업이 기존 인력 외에 추가로 뽑는 '새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다는 의미다.
기업들이 내수 침체와 경제 성장률 둔화 등 경기 부진이 장기화되고, 대내외 불확실성까지 급격히 커지자 사업 확장과 신규 채용을 꺼리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부진의 골이 깊은 건설업과 제조업에서 신규 일자리 감소가 두드러졌다.
4분기 건설업 신규 일자리는 45만3천개로 1년 전보다 5만8천개 줄어 2023년 2분기 이후 7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취업자 기준으로도 건설업 일자리는 지난해 5월부터 지난달까지 12개월째 뒷걸음질하고 있다.
제조업 신규일자리도 4분기 3만8천개 감소해 11분기 연속 감소했다. 제조업의 취업자 비중은 올해 1∼4월 15.5%를 기록해 역대 최저치로 쪼그라들었다.
건설업은 장기 불황 와중에 작년 내내 반등하지 못했다. 제조업 경기 회복는 나쁘지 않지만 고용유발계수가 낮은 반도체 중심이었다. 이에 '양질의 일자리'가 많은 것으로 여겨지는 제조업·건설업 고용 시장이 직격탄을 맞았다.
내수 경기에 영향을 받는 숙박 및 음식점업 신규 일자리도 24만4천개에서 23만1천개로 1만3천개 줄었다. 도매 및 소매업 신규 일자리도 1만6천개 감소했다. 저성장 와중에 12월 비상계엄 사태까지 타격을 입혀 소비 심리가 얼어붙은 결과로 풀이된다.
신규 일자리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4만3천개)에서 유의미하게 늘었지만, 이는 공공일자리와 단기·임시직 비중이 높은 업종이라 양질의 일자리로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많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