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뉴욕증시, 'EU 관세 50%' 트럼프 위협…동반 하락 마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하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면서 위험 회피 심리가 강해져.
-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6.02포인트(0.61%) 밀린 41,603.07에 거래를 마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9.19포인트(0.67%) 떨어진 5,802.82, 나스닥종합지수는 188.53포인트(1.00%) 내려앉은 18,737.21에 장을 마쳐.
- 한동안 잠잠하던 트럼프가 다시 고율 관세 카드를 꺼내 들며 변동성을 촉발. 트럼프는 이날 오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 계정에 "나는 2025년 6월 1일부터 유럽연합(EU)에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을 권고한다"며 "무역에서 미국을 이용하려는 주목적으로 설립된 EU와 거래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고 말해.
2) 트럼프 "EU 50% 관세 부과, 7월9일까지 유예"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에 대해 내달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경고한 50% 관세를 7월9일까지 유예할 것이라고 밝혀.
- 오는 7월 9일은 트럼프 대통령이 애초 지난달 각국에 대해 발표한 상호관세 유예가 만료되는 시점.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1일부터 EU에 5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기습 경고'한 지 이틀 만인 이날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과 전화 통화를 해.
-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이날 통화 후 엑스(X·옛 트위터)에 "좋은 합의에 도달하려면 7월 9일까지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어.
3) 이란 핵협상 불확실성에 나흘만에 반등…WTI 0.5%↑
- 뉴욕 유가는 4거래일 만에 처음으로 상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을 향한 고율 관세 위협을 꺼내 들었으나 이란 핵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부각되면서 유가를 돌려세워. - 23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7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0.33달러(0.54%) 오른 배럴당 61.53달러에 거래를 마감.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7월 인도분 가격은 0.34달러(0.53%) 높아진 64.78달러에 마감.
- WTI와 브렌트유는 지난 20일 이후 처음으로 상승. 뉴욕 거래 초반에는 하락 압력이 거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에 WTI는 한때 2% 가까이 밀린 뒤 반등.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EU와 협상이 "아무 진전이 없다"며 "EU에 6월 1일부터 곧장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을 제안한다(recommending)"고 밝혀.
4) "1000만표 잡아라"… 가상자산 표심 겨냥한 이재명 VS 김문수
- '6·3 대선'을 앞두고 주요 후보들이 1000만명에 달하는 가상자산 투자층을 겨냥해 정책 경쟁에 나tj.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도입, 스테이블코인 규율 마련 등 과거와 달리 제도화에 초점을 맞춘 공약이 대거 등장하면서 정치권의 시선이 '육성'으로 선회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와.
- 과거에는 규제 위주의 접근이 주를 이뤘으나, 최근에는 가상자산 현물 ETF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 등 과감하고 적극적인 제도화 방안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모두 가상자산 현물 ETF 허용 공약을 전면적으로 내세우고 있어. 여기에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과 규율 정비, 토큰증권(STO) 관련 법제화와 구분 명확화 등 제도권 편입과 시장 활성화에 초점을 맞춰 공약을 내걸어.
#우리기술투자 #한화투자증권 #네오위즈홀딩스 #컴투스홀딩스 #한국정보통신 #한컴위드
5) 미국도 脫탈원전, 25년 내 300기 짓는다... "한국엔 기회"
- '원전 종주국' 미국이 2050년 원자력 발전량을 지금의 4배로 늘리기로 해. 1979년 스리마일섬 원전 사고 이후 지난 46년 동안 단 2기의 원전만 신규로 착공해 가동했던 미국이 대규모 원전 투자 계획을 내놓은 것.
- 빠른 원전 확대를 가로막는 각종 규제도 대폭 완화하기로 결정. AI(인공지능)의 확산과 친환경차 보급 등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자 무탄소 에너지원인 원전 확대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는 것. 올 초 한미 양국 정부가 '원전 동맹'을 맺은 상황에서 미국발(發) 원전 르네상스는 K원전에 큰 기회가 될 것이란 기대가 나와.
-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23일 2050년까지 자국 내 원전 설비 용량을 400GW(기가와트)로 늘리는 내용을 담은 행정명령에 서명. 1979년 스리마일섬 원전 사고를 겪은 뒤 사실상 탈원전 상태를 유지했던 미국이 완전한 '탈탈원전'으로 돌아선 것. 사고 이후 지난 46년 동안 미국에서 허가를 받고 가동을 시작한 원전은 각각 1GW급 보글 3·4호기뿐.
#두산에너빌리티 #현대건설 #비에이치아이 #우리기술 #우진엔텍
2. 전일 미국 · 유럽 증시
- 다우산업 : 41603.07 (-256.02p, -0.61%)
- S&P500 : 5802.82 (-39.19p, -0.67%)
- 나스닥 : 18737.21 (-188.53p, -1%)
- 영국 FTSE100 : 8717.97 (-21.29p, -0.24%)
- 프랑스 CAC40 : 7734.4 (-130.04p, -1.65%)
- 독일 DAX : 23629.58 (-369.59p, -1.54%)
- 유로스톡스50 : 5326.31 (-98.17p, -1.81%)
- 주요뉴스 및 시황
- 뉴욕증시, 'EU 관세 50%' 트럼프 위협…동반 하락 마감
- 뉴욕상품거래소에서 6월물 금 선물가격은 전날 대비 70.8달러(+2.14%) 상승한 온스당 3,365.80달러에 거래를 마감
- 미국 국채 2년물 금리는 직전 거래일 대비 0.6bp 내린 3.993%를 기록
-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직전 거래일 대비 4.4bp 내린 4.509%를 기록
-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는 전장대비 0.83% 내린 99.01을 기록
3. Today 관심 레포트
- 현대로템: 지금이라도, 닥치고 매수! (KB증권, BUY, 목표주가 16.5만원)
- 현대로템에 대한 12개월 목표주가를 기존 120,000원에서 165,000원 (12M Fwd. BVPS ? Target P/B 5.43배)으로 상향조정.
- 1분기 방산수출 영업이익률은 38.3%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방산 영업이익률 7.5% 가정). 경쟁제품의 높은 단가로 수주마진 자체가 높은 상황에서 환율상승과 제작대수 증가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고정비감소, 대량구매에 따른 원가하락 등이 가세한 결과
- 이에 따라 최근 4개 분기 방산수출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33.1%에 이르게 됐다. 환율하락 등을 감안하더라도 현재 수주잔고에 있는 방산수출의 영업이익률은 30% 이상으로 유지될 전망
- LG유플러스: 어디 통신사 써요? 엘지유 (대신증권, BUY, 목표주가 1.7만원)
- 25E EPS 1,436원에 PER 12배 적용. 최근 5년 통신업(KT, LGU+ 기준) 평균 10 배 대비 20% 할증 적용. 1Q25 호실적 달성, 3년 만에 1조원대 OP 복귀 및 주주 환원 규모 증가 전망을 반영하여 할증 적용
- 26년 이후 안정적인 high-single 이익 성장과 주주환원 규모 증가를 확인해가면서 경쟁사들과 동일한 PER 13배 적용 예정
- 현주가는 52주 신고가 달성 후 잠시 쉬어가는 중 PER 8배 수준으로 여전히 매력적인 밸류에이션
- KCC: 순이익 급증으로 재평가를 받을 시점 (IBK투자증권, BUY, 목표주가 38만원)
- 삼성물산 주가가 올해 6월 말까 지 현재 수준을 유지하더라도, 2분기 금융수익이 4,000억 원 이상 증가하며 순이익에서 어닝 서프라이즈가 예상
- HD한국조선해양의 시가총액이 3월 말 이후 6조 원 이상 증가했다. 동사의 HD현대조선해양 지분율 약 3.91%를 고려할 때, 금융수익이 2,000억 원 이상 추가로 증가할 가능성.
- 동사는 올해 주요 보유 토지 및 투자부동산에 대한 자산 재평가를 완료. 토지 재평가 차익은 1.2조 원, 투자부동산 재평가 차익은 3,000억 원으로, 이연법인세부채 등을 감안해 자본이 약 1조 원 이상 증가. 이에 따라 부채비율은 작년 4분기 160%에서 올 해 1분기 141%로 감소하며 재무구조가 개선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