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실질 GDP(국내총생산)가 전기대비 -0.2% 역성장한 가운데 실질 GNI(국민총소득)은 0.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4분기 국민소득(잠정)’ 자료에 따르면 1분기 실질 GDP는 전기대비 0.2%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돼 속보치와 동일했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이 전기대비 0.6%, 건설업이 0.4% 감소했고, 서비스업 가운데 금융과 보험업, 정보통신업은 늘었으나 운수업과 부동산업이 줄어든 영향으로 0.2% 감소했다.
지출항목별로는 민간 소비가 오락문화 등 서비스 지출이 줄며 전기대비 0.1% 감소했고, 정부소비는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 중심으로 3.1% 크게 줄었다.
이 기간 실질 GNI는 전기대비 0.1% 증가했다. 교역조건이 악화하며 실질무역손실이 확대됐으나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늘며 GDP를 상회했다. 명목GDP를 실질GDP로 나눈 값으로 물가 수준을 나타내주는 지표인 GDP디플레이터는 전년동기대비 2.4% 상승했다.
한은은 그러나 2분기부터는 내수 일부 지표가 개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강창구 한은 경제통계2국 국민소득부장은 설명회에서 "건설업이나 음식·숙박업은 여전히 부진한 흐름을 보였지만,내구재·비내구재 소비와 도소매업 생산, 설비 투자 등에서는 1분기 대비 개선된 모습이 나타났다"며 "신용카드 사용액도 4월에는 1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5월 하순 들어서 점차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기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통계청 경기종합지수의 순환변동치도 최근 반등 흐름을 보이며, 4~5월 동향을 종합적으로 보면 그동안 부진했던 내수가 다소 개선되는 조짐”이라고 말했다.
이날 한은은 ‘2023년 국민계정(확정) 및 2024년 국민계정(잠정)’ 자료도 발표했다.
지난해 한국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대비 2.0% 증가했다. 민간소비 증가세 둔화와 건설투자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출 증가폭이 확대되며 2.0% 성장했다.
이 기간 실질 국민총소득(GNI)는 전년대비 3.9% 증가했다. 교역조건이 개선되며 실질무역손실이 줄었고,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소폭 늘었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전년대비 6.2% 증가한 2588조8천억원을 기록했다. 피용자보수가 5.2% 증가했고 영업잉여도 9.3% 늘었다. 이자 수취가 늘며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늘었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중 65.2%인 1686조8천억원이 소비로 지출됐고 나머지 34.8%인 902조원이 저축으로 남아 투자재원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6.1% 늘어난 5012만원을 기록했다. 미 달러화 기준으로는 3만6745달러이며, 전년대비 1.5% 증가에 그쳤다.
가계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는 전년대비 5.4% 늘어난 2774만2천원을 기록했는데, 이 역시 달러화 기준으로 한 증가폭은 0.9%에 그쳤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