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가 분당 신도시의 재건축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임대주택 비율을 줄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임대주택을 줄이고 일반분양 물량을 확대해 조합원들의 분담금을 줄여주겠다는 겁니다.
신재근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1시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분당 양지마을입니다.
6개 단지 4,400세대를 7,500세대로 만드는 통합 재건축이 추진 중이지만, 예상보다 높은 분담금에 속도가 나질 않고 있습니다.
바로 12%에 달하는 임대주택 비율 때문입니다.
임대주택 수가 예상보다 늘어나면서 조합원들이 내야하는 분담금 액수가 커진 겁니다.
[박하보 / 양지마을 주민: 무슨 분담금을 7억~8억 원씩 내냐고요. 통합 재건축하면 우린 반대라니까요.]
또 성남시가 처음엔 임대주택 비율을 늘어나는 세대수에 적용하겠다고 밝혔다가, 이후 전체 세대수로 말을 바꾼 것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성남시 관계자: (내용이) 잘못 나가다 보니까 이게 주민 분들의 혼란이 생긴 사실이 있기는 합니다.]
높은 임대주택 비율 때문에 분당 재건축 사업이 내홍을 겪자, 성남시가 임대주택 비율을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임대주택 비율을 전체 세대수가 아닌 늘어나는 세대수에 적용하는 걸로 기준을 완화하는 방안이 거론됩니다.
분당 양지마을의 경우, 이를 적용하면 일반 분양 물량이 무려 900세대나 늘어납니다. 조합원들이 내야할 분담금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성남시 관계자: (임대주택 비율 등을) 완화했을 때 주민들이 어느 정도까지 수긍할 수 있을지 의견 듣고 반영해 보려고 합니다.]
하지만 성남시의 이주 대책이 사실상 무산되면서, 분당 재건축 단지들의 입주 지연은 불가피해졌습니다.
착공 시기가 늦어지는 단지들은 공사비가 늘어 분담금이 더 높아질 가능성도 있어 주민들의 거센 반발도 예상됩니다.
한국경제TV 신재근입니다.
영상취재: 이성근, 김재원
영상편집: 정윤정
CG: 배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