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저출산 현상이 심화하는 가운데, 출산 가능 연령대의 이들이 경제적 이유 등으로 자녀 출산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는 유엔 보고서가 나왔다.
특히 한국은 재정적 이유로 '출산을 포기했거나 포기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8%로 조사 대상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현지시간) 공개된 유엔인구기금(UNFPA)의 '2025년 세계 인구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미국 등 14개국 성인 남녀 1만4천명을 대상으로 출산 계획을 물은 결과 응답자 상당수가 경제·사회적 이유로 자신이 원하는 만큼의 자녀를 갖지 못했거나 못하게 될 것으로 본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UNFPA가 여론조사 기관 유고브와 함께 실시한 이번 설문 대상 국가에는 저출산이 심각한 한국과 독일, 이탈리아 등 선진국부터 출산율이 세계 최고 수준인 나이지리아 등 개발도상국도 포함됐다.
이번 설문에서 응답자 중 다수는 2명 이상의 자녀를 원한다고 답했지만, 이 중 상당수가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원하는 만큼의 자녀를 갖지 못하거나 갖지 못할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출산 가능 연령대 응답자 중 18%는 이상적인 자녀 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을 믿는다고 했으며, 11%는 원하는 수보다 적게 자녀를 가질 것이라고 본다고 응답했다. 출산 가능 연령대가 지난 50세 이상 응답자 중 31%도 결과적으로 자신이 원했던 것보다 적은 수의 자녀를 가졌다고 답했다.
이들이 꼽은 응답 결과 원인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바로 '재정적 한계'(39%)였다. 특히 한국 응답자의 58%가 경제적 이유로 자녀 출산을 포기했거나 포기할 예정이라고 답해, 14개 조사국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나탈리아 카넴 UNFPA 사무총장은 "세계는 전례 없는 출산율 감소의 시대에 들어섰다"며 "출산율이 떨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많은 이들이 자신들이 원하는 가족을 만들 수 없다고 느끼기 때문이며, 이것이 진정한 위기다"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