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 공약의 핵심 중 하나가 바로 '기업의 연구개발(R&D) 촉진' 입니다.
관련해 국가 차원에서 투자를 확대하는 것 외에 '제약기업에 대한 R&D 투자비율 연동형 약가보상체계 구축'이란 정책을 밝혔는데요.
어떤 식으로 실현될 가능성이 높은지, 그렇다면 어떤 기업을 주목해야 하는지 산업부 김수진 기자와 함께 짚어봅니다.
김 기자, 우선 이 R&D 투자 연동 약가보상체계가 의미하는 내용이 뭡니까?
<기자>
쉽게 말해 연구개발(R&D)에 많이 투자한 기업의 의약품 가격을 높게 쳐주겠다는 의미입니다.
<앵커>
약 가격을 올려준다는게 가능한건가요? WTO 등에서 제제가 있을 수도 있지 않습니까?
<기자>
결론부터 말하면 가능합니다. 단, 방법은 우회적일 수 있습니다.
작접적으로 약 자체의 가격을 더하는 방법보다, 정부의 기준에 맞는 기업에게 혜택을 제공해 최종적으로 약가에서 손해를 덜 보게 한다는 방식이라면 자유롭습니다.
우리 정부는 정기적으로 이미 나온 약의 가격을 인하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여기서 혜택을 주는 식으로 말이죠.
실제로 정부는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이란 정책을 통해 R&D 비중이 높고, 신약 개발 성과가 우수한 회사들에게 여러 혜택을 지원해왔고 이 중에는 약가와 관련된 정책도 있었습니다.
이 방안들을 좀 더 쉽게 이해하려면 우리 정부가 평소에 펼치고 있는 '약가 인하 정책'에 대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앵커>
많이 쓰는 의약품의 가격을 인하하는 제도가 그 중 하나죠?
<기자>
그렇습니다. 우리나라는 의약품 출시 이후, 정부를 통해 가격이 인하되는 정책이 6가지 정도입니다.
대표 제도가 '사용량 약가 연동 협상' 제도죠.
정부는 매년 특정 의약품이 얼마나 쓰일지 미리 예상하는데, 실제 사용량이 이보다 높아지면 가격을 내리자고 기업과 협상하는겁니다.
지난해 협상 기준을 살펴보면 2023년도 청구금액이 2022년도 대비 60%이상 증가했거나, 10%이상 증가하고 증가액이 50억원 이상일 때가 인하 대상이었습니다.
이때 한미약품 ‘로수젯’, 셀트리온 ‘램시마’, 보령 ‘듀카브’등 162개 의약품 약가가 인하됐죠.
아직 새 정부의 R&D 투자 약가보상 방안은 정확히 정해지지 않은 상태인데요.
곧 국정기획위원회가 구성되면 세부 실행방안이 정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취재를 통해, 가능성이 큰 방안을 살펴봤는데요.
전문가들은 R&D 투자 약가보상이 이뤄질 경우, 가격 자체를 갑자기 올리기보다 약가 인하폭을 줄여준다거나, 세제 혜택을 준다거나, 정부가 깎은 약가를 고스란히 R&D로 재투자하게 보전해주는 식의 방법으로 접근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앵커>
방법은 달라질 수 있어도 R&D에 많이 투자한 기업일수록 헤택을 볼 가능성은 분명해보입니다
R&D 투자를 많이 하는 우리 제약·바이오 기업, 어디가 있습니까?
<기자>
올해 1분기 기준으로 가장 R&D 비용을 가장 많이 지출한 회사는 삼성바이오로직스입니다.
전년 동기 대비 22.3% 증가한 1,073억원을 R&D에 썼죠.
삼성바이오는 ADC 항암제, 희귀질환 유전자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있는데 해당 분야가 특히 임상에서 비용이 많이 지출되는 편입니다.
다음이 셀트리온인데,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1,031억원을 지출했습니다.
셀트리온 역시 ADC 항암제 개발에 나선데다 ADC와 다중항체 분야에서 3년 내로 13개 후보물질을 개발하겠다는 목표가 있다보니 R&D 비중이 만만치 않습니다.
그 다음이 한미약품 553억원, 대웅제약 518억원, 유한양행 517억원 순인데요.
모두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고, 막대한 R&D 비용 역시 대부분 이에 쓰입니다.
그 외에도 일동제약(305.9%↑), JW중외제약(53%↑), 안국약품(62.9%), 유유제약(30.4%), 종근당(19.5%↑), 삼진제약(19.5%↑), 보령(17%↑) 등이 R&D 비용을 전년 동기 대비 대폭 늘려 주목할 만 합니다.
<앵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R&D 비용이 글로벌 제약사들에 비해서는 규모가 적은 편이지만, 증가하는 편인데다 이 비용이 큰 기업에게 이득을 주겠다는 구조가 된다는데 의의가 있어 보입니다.
<기자>
R&D 비용 투자는 제약·바이오 업계 숙명과도 같은 과제입니다.
기존의 약보다 효과 좋은 약을 계속 개발해야 하고, 이로 생긴 수익은 R&D에 투자해야 다시 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순환 구조라 그렇습니다.
새 정부의 R&D 약가 연동 정책 역시 글로벌 제약바이오 강국이 되기 위해 R&D 비중을 높여 '본질에 충실한 기업'을 우대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앵커>
네 잘 들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