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나 올랐다…"직장인들 어쩌나"

정경준 기자

입력 2025-06-15 06:36   수정 2025-06-15 20:45

'런치플레이션' 심화…전체 소비자물가 대비 상승율 1.5배


최근 5년간 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먹거리 물가가 20%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 물가 10%대 상승과 비교하면 그 상승 속도가 1.5배에 이르는 수준인데, 특히, 먹거리 물가 중 대부분은, 직장인들의 점심 메뉴인 외식 품목으로 '런치플레이션'(런치+인플레이션·점심값 상승)이 심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20년 외식 부문 소비자물가지수를 100으로 했을 때 지난달 지수는 124.56으로 약 25% 뛰었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16% 올랐는데, 이와 비교해 보면, 유독 외식 물가 상승률이 더 가팔랐다.

39개 외식 품목 가운데 가장 많이 오른 것은 김밥(38%)과 햄버거(37%)다. 떡볶이, 짜장면, 생선회, 도시락, 라면, 갈비탕 등 30% 이상 오른 품목은 9개에 이른다. 짬뽕, 돈가스, 칼국수, 비빔밥, 치킨, 설렁탕도 상승률이 30%에 육박한다.

30%대 오른 품목에 냉면, 김치찌개, 된장찌개, 삼겹살 등 20% 이상 상승한 품목을 더하면 30개에 이른다. 구내식당 식사비도 24% 올랐다.

폭등 수준에 달하는 외식 물가가 급격히 오른 것은 우선 식자재비와 인건비 상승이 큰 요인으로 꼽힌다.

이상현 고려대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가장 큰 부담은 식재료와 인건비이고 배달 수수료 환경도 좋지 않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어 "(식재료와 관련)자급률이 높지 않아 수입을 많이 하는데 원/달러 환율이 지난 2020∼2021년 1,200원에서 지금은 1,350원∼1,400원으로 많이 올랐고 물류비 등도 코로나19 때 엄청나게 올랐다"고 지적했다.

배달 관련 비용도 몇 년 전부터 외식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앞서 농림축산식품부는 일부 업체에서 배달앱 수수료 때문에 매장 가격과 배달 메뉴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는 이중가격제(배달가격제)를 도입하고 있다면서, 특히 도시락 업체의 이중가격제 도입으로 지난해 11월 도시락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대비 11.1% 상승한 사례를 소개했다.

(사진=연합뉴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