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에너지주 급락 속 혼조…다우 0.33% 하락 마감

입력 2017-03-09 06:27   수정 2017-03-09 06:45

뉴욕증시 에너지주 급락 속 혼조…다우 0.33% 하락 마감

(뉴욕=연합뉴스) 신은실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유가 급락에 따라 에너지주가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혼조세를 나타냈다.

8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9.03포인트(0.33%) 하락한 20,855.7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5.41포인트(0.23%) 낮은 2,362.9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62포인트(0.06%) 높은 5,837.55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하락 출발한 지수는 장중 내림세를 이어가다 나스닥 지수만 소폭 상승세로 올라섰다.

유가 급락에 따른 에너지주 약세와 경제지표 호조에 따른 금리 인상 우려가 지수에 부담됐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업종이 2.5% 하락하며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산업과 부동산, 통신, 유틸리티 등이 내렸고 헬스케어와 소재, 기술 등은 상승했다.

뉴욕유가는 미국 원유재고가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급락세를 보였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2.86달러(5.4%) 급락한 50.28달러로 마쳐 약 3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 3일로 끝난 주간의 미국 원유재고가 820만9천배럴 증가한 5억2천839만3천배럴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S&P 글로벌 플랫츠가 조사한 전문가 전망치 160만배럴 증가를 훨씬 웃돈 수준으로 주간 원유재고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발표된 민간고용 지표가 호조를 보이며 금리 인상을 부추긴 것도 투자 심리에 악영향을 미쳤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는 것은 위험자산인 증시에 악재가 된다.

ADP 전미고용보고서에 따르면 2월 민간부문 고용은 29만8천명 증가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애널리스트들 전망치 18만8천명 증가를 웃돈 것이다.

지난 1월 민간 고용증가는 24만6천명에서 26만1천명으로 수정됐다.

지난 1월 미국 도매재고는 시장 예상치보다 더 감소했지만, 국내총생산(GDP) 성장에는 기여했다.

미 상무부는 1월 도매재고가 전달대비 0.2%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WSJ 조사치는 0.1% 하락이었다.

다만, 지난해 4분기(2016년 10~12월) 미국의 생산성은 예비치와 같아 월가 예상에 못 미쳤다.

미 노동부는 4분기 비농업 생산성 수정치가 연율 1.3%(계절 조정치) 상승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WSJ 조사치는 1.5% 상승이었다. 지난달 발표된 예비치는 1.3% 상승이었다.

지난해 3분기 생산성은 3.5% 상승에서 3.3% 상승으로 수정됐다.

지난해 전체 생산성은 전년보다 0.2% 오르는 데 그쳤다. 이는 2011년 이후 가장 작은 상승 폭이다.

금융주는 민간부문 고용이 호조를 보이며 기준금리 인상 전망이 강화됐다는 분석에 장초반 상승세를 보였으나 장중 상승폭을 줄이거나 하락 전환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0.2% 상승했고, 골드만삭스와 JP모건은 각각 0.26%와 0.22% 내렸다.

뉴욕 애널리스트들은 이날 발표된 민간부문 고용이 호조를 보이며 오는 10일 공개되는 비농업부문 고용이 긍정적일 것을 시사했다고 진단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상 기대가 높은 상황에서 비농업부문 고용까지 호조를 보이면 이달 금리 인상 전망이 더욱 힘을 얻을 것으로 전망했다.

연준은 오는 14~1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오는 3월과 5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90.8%와 85.6%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3.06% 오른 11.80을 기록했다.

essh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