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란법 시행에도 골프용품 수입액 10% 이상 증가

입력 2018-02-01 06:32  

김영란법 시행에도 골프용품 수입액 10% 이상 증가
작년 1∼9월 수출입통관 자료…"골프 인구·관심 꾸준"
겨울철 스포츠용품 수입도 대폭 늘어

(서울=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 골프 접대 등을 금지한 부정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시행에도 골프용품 수입액이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문화체육관광부가 관세청의 수출입 통관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17년 1∼9월 골프용품 수입액은 3억773만7천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10.9% 늘어났다.
김영란법은 2016년 9월부터 시행됐다.
우리나라의 전체 스포츠용품 수입액 중 골프용품 비중은 24.2%로 스포츠화(43.9%)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골프용품 수입이 많이 증가한 것은 김영란법에도 20∼4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골프 인기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에 따르면 작년 골프장 이용객 수는 3천542만명으로 전년보다 2.2% 증가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지난해 1인당 골프장 이용횟수는 9.4회로 2015년의 8.5회보다 늘어났다.
서천범 한국레저산업연구소장은 "스크린골프 등 잠재적인 골프 인구가 있고, 신설 골프장이 늘어나는 등 골프에 대한 관심이 높아 골프장 이용객은 당분간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겨울철 스포츠용품 수입액도 증가했다.
지난해 1∼9월 스케이트 수입액은 1천901만6천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25.9% 신장했다. 전체 스포츠용품 중 가장 높은 수입액 증가율이다.
스키용품 수입액은 985만4천달러를 기록, 전년 동기보다 5.5% 증가했다.
볼링용품 수입액은 2천190만3천달러로 71.1% 늘어났다.
수상스포츠용품 수입액은 18.8% 늘어났으며, '몸짱 열풍'으로 헬스용품의 수입액도 17.7%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수입액 중 비중이 가장 큰 스포츠화(11.7%), 배드민턴용품(11.3%), 수영복(11.0%), 당구용품(9.1%)의 수입액도 늘어났다.
야구용품(-8.5%)과 트랙슈트(-1.7%)의 수입액은 감소했다.
지난해 1∼9월 전체 스포츠용품 수입액은 12억7천234만9천달러로 1년 전보다 13.1% 증가했다.
이 기간 스포츠용품 전체 수출액은 1억2천818만9천달러로 수입액의 10% 정도였다.




[표] 2017년 1∼9월 스포츠용품 품목별 수출입 실적


chunj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