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청정기 제품별 필터 교체 비용 최대 3.1배 차이

입력 2019-11-07 12:00   수정 2019-11-07 12:11

공기청정기 제품별 필터 교체 비용 최대 3.1배 차이
소비자원 9개 제품 시험평가…삼성·샤오미·코웨이·LG 유해가스 제거 '상대적 우수'

(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최근 미세먼지 문제 등으로 공기청정기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제품별로 유해가스 제거 효율이나 필터 교체 비용 등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청정기 성능 1등부터 꼴등까지 매겨봄 (통통리빙 컨슈머리포트 유튜브 채널 참고)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공기청정기 9개 제품을 대상으로 유해가스 제거 효율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시험 대상 제품은 삼성(AX40R3030WMD)과 샤오미(AC-M4-AA), 샤프(FP-J40K-W), 위니아(EPA10C0XEW), 위닉스(AZSE430-IWK), 코웨이(AP-1019E), 쿠쿠(AC-12XP20FH), LG전자(AS122VDS), SK매직(ACL-120Z0SKGR) 등 9개 제품이다.
새집증후군 유발 물질로 알려진 폼알데하이드와 톨루엔, 생활악취인 암모니아와 아세트알데하이드, 초산 등 5개 가스를 제거하는 성능을 평가한 결과 삼성과 샤오미, 코웨이, LG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풍량으로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은 삼성·샤프·위니아·위닉스·코웨이·쿠쿠·LG 등 7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미세먼지 제거 성능과 안전성, 표시사항은 모두 관련 기준을 충족했다.
연간 필터 교체 비용은 제품 간 최대 3.1배, 전기요금은 1.9배 차이가 벌어졌다.
필터 교체 주기는 업체가 자율적으로 정하고 있지만 1년 사용 뒤 교체를 기준으로 하면 위니아가 3만5천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샤오미는 자체적으로 정한 필터 교체 주기가 짧아 1년에 2차례 교체해야 하는 만큼 연간 11만원이 소요됐다.
하루 7.2시간 사용을 기준으로 환산한 연간 전기요금은 쿠쿠가 9천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삼성이 1만7천원으로 가장 비쌌다.


공기청정기 필터에서는 모두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옥틸이소티아졸린(OIT) 같은 살균제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소비자원은 생활밀착형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 비교정보를 지속해서 제공할 계획이다.
또 환경부는 CMIT, MIT, OIT를 공기청정기용 필터 항균 등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생활 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상 함유금지물질로 지정할 예정이다.


eshin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