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케리 중국행·비공식대표단은 대만에…'대화·압박 병행'(종합2보)

입력 2021-04-14 19:59  

美케리 중국행·비공식대표단은 대만에…'대화·압박 병행'(종합2보)
바이든 정부 고위직 첫 방중…시진핑·바이든 대화 '징검다리' 주목
미, 중국과 기후변화 등 협력 모색하며 대만엔 대표단 보내 압박


(베이징·상하이=연합뉴스) 심재훈 차대운 특파원 = 미중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이 중국에 대통령 기후 특사를 보냄과 동시에 대만에는 비공식 대표단을 보내며 대화와 압박을 병행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낸 존 케리 미국 대통령 기후특사는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고위 당국자 중 처음으로 14일 중국 순방에 올랐다.
중국 생태환경부는 위챗(微信·중국판 카카오톡) 공식 계정을 통해 케리 특사가 중국 정부의 초청으로 14일부터 17일까지 방중한다고 발표했다.
생태환경부는 "케리 특사가 방중 기간 셰젠화(解振華) 중국 기후변화 특사와 상하이에서 회담을 통해 중미 기후변화 협력과 유엔 기후변화협약 제26차 총회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케리 특사는 15일과 16일 이틀에 걸쳐 중국 측의 셰전화 특사와 회담한다.
바이든 행정부는 기후변화처럼 필요한 부분에서는 중국과 기꺼이 협력하겠다면서 전임 트럼프 행정부와는 다소 차별화된 접근법을 모색하고 있다.
미중 양국이 중국에서 처음 이뤄지는 고위 당국자 회동 장소를 상하이(上海)로 조율한 배경에도 눈길이 간다.

중국 최대 경제 도시인 상하이는 전통적으로 외교 행사가 많이 열리는 곳은 아니지만 미중 외교사에서 있어서만큼은 매우 특별한 의미가 있는 장소다.
미국과 중국은 1972년 2월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의 방중을 계기로 '상하이 공동성명'(상하이 코뮤니케)에 서명하고 적대 관계 청산과 관계 정상화를 선언했다.
양국이 오랜 냉전 시기의 적대 관계를 청산하고 1979년 수교를 하는 데 초석이 됐다는 점에서 당시 국제 질서에 큰 변화를 초래한 상하이 공동성명은 역사적인 외교 합의로 평가받는다.
중국 측이 케리 특사와의 회담 장소를 양국 관계 정상화 출발점인 상하이로 정한 것은 여전한 미중 신냉전 속에서도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희망한다는 메시지를 피력한 것으로 볼 여지가 있다.
바이든 행정부 들어서도 신장 위구르족 인권문제 등으로 미중 갈등 전선이 확대되고 있지만, 기후변화 영역은 그나마 미국과 중국 간 협력 가능성이 가장 높은 영역이다.
미국의 새 정부는 중국을 전략 경쟁자로 규정하고 트럼프 행정부처럼 인권·기술·안보 등 면에서 강하게 압박하면서도 기후변화, 북핵 등 문제와 관련해서는 협력을 추구하는 새 대중 접근법을 모색 중이다.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 역시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이 작년 유엔총회 연설에서 2030년까지 탄소 배출 정점을 지나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선언을 한 뒤 기후변화 문제를 핵심 국가 의제로 격상한 터여서 기후변화 문제는 미중 양국이 비교적 쉽게 협력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는 영역이라는 평가가 있다.
케리 특사는 중국 방문에 앞서 CNN과 한 인터뷰에서 "우리는 중국과 일부 이슈에서 절대적으로 큰 의견 차이를 갖고 있지만 기후 문제는 따로 떨어뜨려 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케리 특사의 이번 중국 방문 초점은 그가 맡은 기후변화 문제 논의에 맞춰질 전망이다.
그렇지만 케리 특사가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에 국무장관까지 지낸 거물급 인사라는 점에서 외교가에서는 그의 이번 방문이 정면충돌로 끝난 알래스카 회담 후 미중 간 긴장 완화를 위한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특히 케리 특사의 방문이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첫 화상 대화로 이어지는 '징검다리'가 될 수 있을지도 관전 포인트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달 22∼23일 기후 정상회의를 개최하면서 시 주석을 포함한 40개국 정상을 초청했지만 시 주석의 참가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케리 특사의 방중의 주목적이 이번 기회 정상회의 준비라는 점에서 그는 이번 회담에서 중국 측에 시 주석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권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일 시 주석이 정상회의에 참석하면 다자 화상회의 방식이지만 바이든 대통령과 처음으로 얼굴을 맞대고 대화를 하는 것이 된다.
대형 다자회담을 계기로 양자 회동이 별도로 마련되는 외교 관례에 비춰보면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이 따로 화상 회담을 여는 가능성도 상정해 볼 수는 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의 반발에도 이날 대만에 첫 비공식 대표단을 보냈다.
바이든 대통령이 파견한 비공식 대표단 3명은 14일 오후 항공편으로 타이베이에 도착해 방문 일정에 들어갔다.
대표단은 크리스 도드 전 상원의원과 국무부 부장관을 역임한 리처드 아미티지, 제임스 스타인버그 3명으로 구성됐다.
대만 언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한 후 대만을 방문하는 첫 미국 대표단은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과 대만의 국가안보, 외교 및 국방 분야의 고위 관계자들과 만날 예정이다.
바이든 대통령이 케리 특사와 비공식 대표단을 각각 중국과 대만에 따로 보낸 것은 중국과 필요한 분야에서 협력을 모색하면서도 동시에 대만 등 민감한 미중 갈등 영역에서 중국을 계속 압박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이 현직이 아닌 전직 관리와 의원으로 구성된 비공식 대표단을 대만에 보냄으로써 '하나의 중국' 원칙을 강조하는 중국을 어느 정도 배려한 측면도 있다고 볼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임 말기인 작년 알렉스 에이자 보건부 장관과 키스 크라크 국무부 차관을 잇달아 대만에 공식적으로 보낸 바 있다.
예상대로 중국은 미국과 대만의 밀착 행보에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다.
마샤오광(馬曉光) 중국 국무원 대만판공실 대변인은 14일 기자회견에서 "미국에 의지해 독립을 도모하며 심지어 무력으로 대만 독립을 도모하려는 환상은 독이 든 술로 갈증을 푸는 것"이라며 "이것은 대만을 재앙으로 몰아넣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president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