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업계 수익 갈등 진짜 배경은…"OTT 전환기 주도권 다툼"

입력 2021-06-21 06:05  

미디어 업계 수익 갈등 진짜 배경은…"OTT 전환기 주도권 다툼"
유료방송 '코드 커팅' 조짐…업계 간 수익배분 및 채널 전략 상충
구조적 갈등 지속 예상…규제 사각지대 속 시청권 침해 우려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나날이 격화하는 미디어 업계 내부의 수익배분 갈등이 단순히 금전 문제가 아니라 장기적인 방송 시장의 재편까지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금까지 방송 시장의 주도권은 플랫폼을 장악한 유료방송이 갖고 있었으나, 최근 콘텐츠 업계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급성장을 계기로 시장의 판을 흔들려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관련 법제도는 이런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어 애꿎은 시청자만 피해를 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방송 채널, 현재 위치 유지 힘들 것…코드 커팅 가능성"
21일 미디어 업계에 따르면 최근 CJ ENM과 IPTV 3사에 이어 SBS와 KT스카이라이프까지 수익배분 갈등이 끊이지 않는 것과 관련해, 앞으로도 이런 사례는 더욱 확산할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이는 국내에서도 '코드 커팅' 현상이 나타나는 등 미디어산업의 구조적 재편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예상을 배경으로 한다. 미국에서 먼저 나타난 코드 커팅은 시청자들이 유선(코드)방송을 끊고 OTT 등 스트리밍 서비스로 갈아타는 현상을 말한다.
국내 유료방송 가입자는 지난해 3천500만명을 넘겨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증가율은 5년 연속 하락한 끝에 1.6%에 그치면서 최근 10년 내 가장 낮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김경은 부연구위원은 최근 칼럼에서 OTT 대비 TV 방송의 차별성이 사라지고 다시보기 서비스가 보편화되는 추세를 근거로 "방송 채널이 방송 콘텐츠의 1차 유통창구 위치를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고 밝혔다.
미디어미래연구소 노창희 센터장도 리포트를 내고 "코로나19로 OTT 이용이 급증했지만 유료방송 산업 규모는 위축될 전망"이라며 "앞으로 코드 커팅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 '수익 증대·티빙 강화' CJ ENM의 다목적 승부수
업계는 최근 CJ ENM이 콘텐츠 가격 인상 요구를 전면화한 것도 자사 OTT인 티빙을 앞세워 장기적으로 이런 변화를 주도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풀이했다.
콘텐츠를 활용해 더 많은 수익을 챙기는 것은 물론, 유료방송을 견제하는 효과까지 거둠으로써 OTT에 유리한 시장환경을 조성하려는 포석이라는 이야기다.
LG유플러스도 최근 CJ ENM이 자사 모바일 IPTV에 콘텐츠 공급을 중단하자 "CJ ENM이 티빙에만 콘텐츠를 송출해 가입자를 확보하려는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CJ ENM은 2023년까지 티빙 유료 가입자 800만명을 목표로 5년간 5조원의 투자 계획을 밝혔고, 지난달 월이용자 334만명으로 자체 최고 기록을 세웠다. 2019년 CJ헬로(현재 LG헬로비전) 매각 이후 케이블방송에서 OTT로의 채널 전환 전략이 성과를 거두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에 SBS가 KT스카이라이프를 상대로 신규 VOD 공급을 중단한 것 역시 지상파 3사와 SK텔레콤이 공동 설립한 자체 OTT 웨이브가 있었던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 저강도 국지전 잇따를 듯…시청자 피해 우려
다만, 유료방송을 OTT가 완전히 대체하기까지는 적잖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관측이 아직 우세하다. 유료방송 요금이 미국처럼 비싸지 않은 국내 시장 특성상 코드 커팅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콘텐츠 업계로서도 OTT에서 발생하는 수익이 유료방송을 넘어서기는 여전히 시기상조인 만큼 업계 간 협력의 필요성은 분명하다.
따라서 업계는 최근 갈등이 당장 전면적 대립으로 격화하는 대신, 최근 사례처럼 틈새시장에서의 저강도 '국지전'으로 계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상대적으로 가입자가 적고 피해가 적은 서비스에서 분쟁을 벌임으로써 정부의 규제 리스크는 줄이면서도 이슈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라는 관측이다.
시청자 피해를 우려한 정부가 경고장을 던졌지만, OTT 관련 법제도가 미비한 상황에서 업계는 아랑곳하지 않은 채 시청자 피해만 커지는 형편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유료방송과 콘텐츠 업계 모두 수익성 악화와 글로벌 업체의 공세라는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상생보다 갈등만 커지고 있다"며 "애꿎은 시청자나 중소 방송채널사업자가 피해를 보지 않도록 조속히 관련 법령을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jo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