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다보스포럼 키워드 '다중위기'…"함께 맞서지 않으면 공멸"

입력 2023-01-18 11:26  

올해 다보스포럼 키워드 '다중위기'…"함께 맞서지 않으면 공멸"
주요 정상 줄줄이 불참, 회의론 확산…"지도자들에게 유독한 자리 돼"
CEO들은 경기침체 우려에 침울…일부 연착륙 기대감도 엿보여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올해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에서는 전 세계가 마주한 산적한 위기에 대한 우려가 쏟아지며 '다중위기'가 키워드로 떠올랐다.
'분열된 세계에서의 협력'을 주제로 지난 16일(현지시간) 개막한 이번 포럼에서 가장 널리 회자되는 단어는 '다중위기'(polycrisis)라고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와 시사주간지 타임이 17일 보도했다.
다중위기는 코로나19로 인한 보건 위기부터 기후 변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 인플레이션 충격,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민주주의 체제 등 전 세계에서 각종 위기가 동시다발적이고 중복돼 일어나는 현재 상황을 일컫는 말이다.
다보스포럼도 행사에 앞서 발표한 '세계위험보고서 2023'에서 "세계가 다중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다중위기가 무력 충돌 등 파국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복합위기'로도 불리는 이 용어는 프랑스 철학자 에드가 모랭이 1990년대에 처음 소개한 개념이다.
이후 2016년 장클로드 융커 전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시리아 난민과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등 당시 EU가 직면한 여러 위기를 표현하며 다중위기를 언급했고, 경제사학자인 애덤 투즈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가 지난해 칼럼 등에서 언급하면서 널리 회자됐다.
다보스포럼에 참석한 투즈 교수는 타임에 "우리가 지금 다루는 갖가지 다른 유형의 충격은 지극히 이례적"이라며 "다중위기 개념으로 설명하려는 것이 바로 이런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마치 끔찍한 조식 뷔페와도 비슷하다"라며 "정상적 상황이라면 같이 어우러지지 않는 성분들이 섞여서 소화되지 못하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참가자들은 이처럼 세계가 직면한 수많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보다 광범위한 협력과 다자주의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은 "모두에게 중요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지 않으면 우리는 함께 멸망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작 이러한 외침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각국 정상들은 이번 행사에 대거 불참했다고 타임은 지적했다.
올해 행사에는 각국 정상 52명이 참석하기로 했으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리시 수낵 영국 총리,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 주요국 정상들은 빠졌다.
주요 7개국(G7) 정상 가운데 다보스포럼에 참석하는 인사는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뿐이다.
이와 관련해 타임은 다보스포럼이 세계 지도자들에게 '유독성'(toxic)의 자리가 됐다는 한 참석자의 발언을 전했다.
고물가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한 상황에서 각국 정상이 다보스포럼에 참석해 세계 지도자들과 어울리는 모습이 자국민들에게 달갑게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는 뜻이다.

이런 가운데 다보스포럼의 핵심인 세계화의 후퇴로 행사 자체의 의미가 퇴색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 CNN 방송은 파이낸셜타임스(FT) 칼럼니스트인 라나 포루하를 인용해 "다보스포럼의 적실성이 사라지고 있다"고 전했다.
지정학적 위기 속에 다국적 기업 공급망이 자국 위주로 재편되는 등 지난 반세기 국제사회를 지탱해온 세계화 흐름이 '지역화'로 대체되고 있다는 것이다
재계 참석자들은 정계보다 많지만 경기침체 우려로 분위기는 침울하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했다.
특히 최근 수년간 급성장하다 긴축과 정리해고로 방향전환을 하는 거대 정보기술(IT) 기업들은 좀 더 가라앉은 분위기다.
다만, 일부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도달했다고 판단할만한 이유를 들어 경제가 장기침체까지는 가지 않고 연착륙할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재무장관을 지낸 래리 서머스는 WSJ에 연준의 조치를 이전보다 덜 비관적으로 보고 있으며, 미국이 향후 수개월 안에 심각한 재정위기를 경험할 가능성은 적다고 WSJ에 말했다.
서머스는 경제성장이 둔화하지만 역성장하지는 않는 연착륙까지 기대하지는 않는다면서도 "원칙적으로는 경제 상황이 견조하게 유지되는 터라 이전보다 연착륙 가능성이 더 그럴듯해 보인다"고 말했다.
inishmor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