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그룹주 올들어 시총 4조원 증발…삼성·포스코·LG는 '쑥쑥'

입력 2023-06-25 07:01  

CJ그룹주 올들어 시총 4조원 증발…삼성·포스코·LG는 '쑥쑥'
CJ그룹 시총 16조→12조원대로…신세계도 17.1% 감소
반도체·2차전지 품은 그룹 시 총 ↑…포스코 42조원→72조원 급증


(서울=연합뉴스) 배영경 기자 = 올해 들어 대기업집단별로 시가총액(시총) 증감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대장주' 삼성전자가 주축인 삼성과 포스코·LG 등은 반도체 및 2차전지 업황 개선 기대감에 시총 몸집이 불어난 반면, 문화·유통사업 중심의 CJ와 신세계 등은 경기 침체와 소비 둔화에 대한 우려로 주가가 하락하며 시총도 크게 쪼그라들었다.
25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공정자산 총액 기준 상위 15개 대기업집단의 연초 대비 최근(지난 23일 기준) 시총 추이를 분석한 결과, CJ그룹의 시총 감소율이 25.7%로 가장 컸다.
연초 16조4천800억원이었던 CJ그룹 시총은 최근 12조2천400억원으로 줄어 상반기에 약 4조2천400억원이 증발했다.
CJ그룹에서 시총 비중이 가장 큰 CJ제일제당의 주가는 연초 37만6천500원이었으나 지난 23일 27만3천500원까지 내려앉은 상태다.
경기 침체로 가공식품 수요가 줄어든 데다 원가 부담이 지속되고 있고, 바이오 부문 업황 둔화에 따른 부진 우려가 반영됐다.
여기에 최근 CJ CGV가 5천7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소식을 발표하자 주가가 1만원 선 아래로 무너지며 1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까지 내려갔고, 주주배정 방식으로 유상증자에 600억원가량 참여키로 한 지주사 CJ의 주가도 동반 하락했다.
신사업 추진을 위해 자금을 조달한다는 계획이지만 최근 영화관 사업이 OTT(동영상 스트리밍)에 밀려 전망이 밝지 않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호응을 얻지 못했다.
신세계그룹도 합산 시총이 연초 6조3천800억원에서 최근 5조2천900억원으로 약 17.1% 감소하며 고전을 면치 못했다.
시총 비중이 큰 이마트의 경우 외형 성장세가 둔화하고 최근 인수·합병에 나섰던 업체들의 실적 부진과 이자 비용 증가 우려 등이 겹치며 주가가 연초 9만4천800원에서 7만8천400원까지 하락했다.
신세계 역시 소비경기 둔화와 코로나19 사태 때의 기저효과에 의류·명품 매출 성장세가 둔화하며 실적 모멘텀이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다.
이외에 GS(-12.2%), 롯데(-5.3%), 카카오(-4.7%), KT(-3.8%) 그룹의 시총도 연초 이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차전지 상장사를 품은 그룹은 시총 증가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포스코그룹의 시총은 연초 41조9천400억원에서 최근 72조7천100억원으로 약 73.4% 급증했다.
그중에서도 2차전지 양극재 소재 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의 경우 연초 19만원대였던 주가가 최근 37만원대로 치솟으면서 시총도 14조8천300억원에서 약 29조500억원으로 곱절 가까이 불어났다.
LG그룹 역시 2차전지 열풍과 가전사업 실적 호조를 등에 업고 시총이 연초 이후 약 42조원가량 증가했다.
특히 2차전지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의 주가는 연초 44만6천원에서 최근 56만3천원까지 상승했다.
LG전자는 가전 수요 둔화에도 프리미엄 가전 시장에서의 입지를 기반으로 올해 1분기 영업이익 1조5천억원의 깜짝 실적을 발표했고, 전장 사업에 대한 기대감까지 더해지며 주가는 연초 8만6천400원에서 12만3천300원까지 올랐다.
삼성그룹의 경우 시총이 연초 이후 98조원 가까이 증가하며 약 616조원으로 불어났다.
제일기획(-16.28%)과 호텔신라(-11.29%) 등 전체 상장종목 17개 중 7개 종목의 시총은 감소했으나, 삼성전자의 주가가 연초 5만5천500원에서 7만1천600원까지 오르며 그룹 전체 시총 증가를 이끌었다.
삼성전자 주가는 하반기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과 인공지능(AI) 투자용 고용량 D램 수요 확대 기대감에 외국인 매수세가 집중되면서 크게 상승했다.
이 밖에도 LS(29.5%), SK(28.6%), 현대자동차(22.4%), HD현대(22.0%) 등도 최근 그룹 시총이 연초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상위 15개 대기업집단 연초 이후 시총 추이
(단위=억원·%)
┌───────┬────────┬────────┬──────┐
│그룹명│ 연초 시총│ 최근 시총│ 등락률 │
├───────┼────────┼────────┼──────┤
│포스코│ 419,388│ 727,097│73.4│
├───────┼────────┼────────┼──────┤
│ LS │ 48,265│ 62,508│29.5│
├───────┼────────┼────────┼──────┤
│ SK │ 1,238,705│ 1,593,111│28.6│
├───────┼────────┼────────┼──────┤
│ 현대자동차 │ 997,774│ 1,221,248│22.4│
├───────┼────────┼────────┼──────┤
│HD현대│ 277,689│ 338,688│22.0│
├───────┼────────┼────────┼──────┤
│ LG │ 2,001,977│ 2,421,020│20.9│
├───────┼────────┼────────┼──────┤
│ 한화 │ 191,190│ 230,586│20.6│
├───────┼────────┼────────┼──────┤
│ 삼성 │ 5,180,824│ 6,157,308│18.8│
├───────┼────────┼────────┼──────┤
│ 한진 │ 120,098│ 130,412│ 8.6│
├───────┼────────┼────────┼──────┤
│ KT │ 100,294│ 96,542│-3.7│
├───────┼────────┼────────┼──────┤
│카카오│ 492,946│ 469,803│-4.7│
├───────┼────────┼────────┼──────┤
│ 롯데 │ 223,448│ 211,715│-5.3│
├───────┼────────┼────────┼──────┤
│ GS │ 108,100│ 94,894│ -12.2│
├───────┼────────┼────────┼──────┤
│신세계│ 63,780│ 52,891│ -17.1│
├───────┼────────┼────────┼──────┤
│ CJ │ 164,809│ 122,440│ -25.7│
└───────┴────────┴────────┴──────┘
※ 상위 15개 가운데 공기업 중심의 농협은 제외하고 대신 LS그룹 포함.
(자료:에프앤가이드)
ykb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