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 = 정부가 중국산 철강 후판에 최대 38%의 잠정 덤핑 방지 관세 부과를 추진한다는 소식에 21일 철강 관련주가 동반 급등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동국제강은 전 거래일보다 12.22% 오른 9천640원에 거래를 마쳤다.
POSCO홀딩스[005490](5.03%), 현대제철[004020](3.52%)를 포함한 국내 후판 3사의 주가가 모두 올랐다.
이외에도 포스코스틸리온[058430](21.41%), 문배철강[008420](8.22%), 넥스틸[092790](5.44%), 세아제강[306200](4.15%) 등 철강 관련 종목이 일제히 올랐고 이중 세아제강은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다만 장 초반에 비해 상승폭은 상당히 좁아졌다.
반면 원가 상승 우려를 안게 된 HJ중공업[097230](-1.72%), 삼성중공업[010140](-1.62%), HD한국조선해양[009540](-1.61%), HD현대중공업[329180](-1.47%) 등 조선 업종은 약세를 보였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중국산 후판에 대한 예비 조사를 진행한 결과 덤핑 사실과 덤핑 수입으로 인한 국내 산업의 실질적 피해를 추정할 충분한 근거가 있다며 잠정 덤핑 방지 관세 27.91%~38.02% 부과를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건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결정으로 국내 후판 3사가 수혜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재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잠정 관세가 부과되면 중국산 후판은 가격 경쟁력을 상실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후판 제조사인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은 가격 상승 내수 비중 증대로 수익성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형 국내 조선사 기준으로 전체 후판 사용량의 중국산 비중은 약 20% 수준으로, 중국산 후판에 대해 30% 관세를 적용할 경우 원가율 1%포인트 상승 요인이 된다"며 "중소형 조선사의 경우 중국산 비중이 40~50%에 달해 원가 부담이 높다"고 분석했다.
chom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