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7일 국고채 금리가 미·중 간 관세 협상과 우리 정부의 국고채 발행계획 수정을 주시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이날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2.9bp(1bp=0.01%포인트) 내린 연 2.253%에 장을 마쳤다.
10년물 금리는 연 2.603%로 1.0bp 상승했다. 5년물과 2년물은 각각 1.5bp, 2.9bp 하락해 연 2.379%, 연 2.300%에 마감했다.
20년물은 연 2.567%로 1.3bp 올랐다. 30년물과 50년물은 각각 1.2bp, 1.2bp 상승해 연 2.486%, 연 2.330%를 기록했다.
이날 국고채 단기물 금리는 내리고 장기물 금리는 올랐다.
단기물의 경우 미국과 중국이 무역 현안을 논의하기로 하면서 그간 관세를 두고 격화해온 양국의 갈등이 완화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금융시장이 안정을 찾으면서 강세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외신에 따르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중국 결제 실세'인 허리펑 부총리가 오는 9∼12일 중 제3국인 스위스 제네바에서 만나 무역 현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45%의 '관세 폭탄'을 투하하자, 중국 정부가 미국산 수입품에 최대 125%의 보복 관세 조치로 맞불을 놓은 이후 나온 양국 간 첫 고위급 회담이다.
반면 장기물은 이날 장 마감 후 기획재정부가 발표할 2025년 국고채 발행 계획 수정에 대한 경계감에 약세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최근 추가경정예산이 확정된 데 따른 수정이다.
이 영향으로 외국인 투자자의 국채 선물 매매 동향도 엇갈렸다.
이날 외국인 투자자는 3년 국채 선물을 1만357계약 순매수한 반면 10년 국채 선물은 3천864계약 순매도했다.
┌─────────┬─────────┬────────┬────────┐
│ │ 당일(오후ㆍ%) │전일(%) │ 전일대비(bp) │
├─────────┼─────────┼────────┼────────┤
│ 국고채권(1년) │ 2.350 │ 2.374 │ -2.4 │
├─────────┼─────────┼────────┼────────┤
│ 국고채권(2년) │ 2.300 │ 2.329 │ -2.9 │
├─────────┼─────────┼────────┼────────┤
│ 국고채권(3년) │ 2.253 │ 2.282 │ -2.9 │
├─────────┼─────────┼────────┼────────┤
│ 국고채권(5년) │ 2.379 │ 2.394 │ -1.5 │
├─────────┼─────────┼────────┼────────┤
│ 국고채권(10년) │ 2.603 │ 2.593 │ +1.0 │
├─────────┼─────────┼────────┼────────┤
│ 국고채권(20년) │ 2.567 │ 2.554 │ +1.3 │
├─────────┼─────────┼────────┼────────┤
│ 국고채권(30년) │ 2.486 │ 2.474 │ +1.2 │
├─────────┼─────────┼────────┼────────┤
│ 국고채권(50년) │ 2.330 │ 2.318 │ +1.2 │
├─────────┼─────────┼────────┼────────┤
│ 통안증권(2년) │ 2.295 │ 2.321 │ -2.6 │
├─────────┼─────────┼────────┼────────┤
│회사채(무보증3년) │ 2.846 │ 2.872 │ -2.6 │
│ AA-│ │││
├─────────┼─────────┼────────┼────────┤
│CD 91일물 │ 2.710 │ 2.710 │ 0.0 │
└─────────┴─────────┴────────┴────────┘
※ 이 기사와 표는 연합인포맥스의 데이터를 토대로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 작성돼 편집자의 데스킹을 거쳤습니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