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서식지 파괴로 100년 내 조류 500여종 멸종 위기"

입력 2025-06-25 00:01  

"기후변화·서식지 파괴로 100년 내 조류 500여종 멸종 위기"
英 연구팀 "인간 위협 축소 및 독특한 종 보호 맞춤 프로그램 필요"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기후변화와 서식지 파괴 등으로 앞으로 100년 이내에 500종 이상의 조류가 멸종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레딩대 케리 스튜어트 박사팀은 과학 저널 네이처 생태학 및 진화(Nature Ecology & Evolution)에서 조류 1만여종에 대해 외형적, 생리적, 생태적 특성을 토대로 멸종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100년 내 멸종이 우려되는 새가 500여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런 멸종 예상치는 1500년 이후 기록된 모든 조류 멸종의 3배에 달하는 것이라며 서식지 파괴, 사냥, 기후변화 같은 인간이 유발한 위협으로부터 조류를 완전히 보호한다고 해도 약 250종은 여전히 멸종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멸종위기 종 적색 목록 데이터를 이용해 조류 1만여종에 생물 종의 외형적, 생리적,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형질 기반 접근법(trait-based approach)을 적용, 멸종 위험과 그에 따른 생태계 기능 상실 가능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 세계적으로 100년 안에 500종 이상의 조류가 멸종 위기를 맞을 것으로 분석됐으며, 이들을 기후변화와 서식지 파괴, 사냥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조치가 취해져도 250여 종은 멸종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민목우산새(Bare-necked umbrellabird), 투구큰부리새(Helmeted hornbill), 노랑배태양새아시티(Yellow-bellied sunbird-asity) 같은 취약한 조류가 멸종하면서 세계적으로 조류 형태와 크기의 다양성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이런 독특한 새들의 멸종으로 이들이 수행하던 필수 기능이 사라지면서 주변 생태계에서도 큰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조류 멸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서는 몸이 큰 조류는 사냥과 기후변화에 취약하고, 넓은 날개를 가진 새들은 서식지 파괴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장 많은 조류의 멸종을 막을 수 있는 조치는 서식지 파괴를 막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태계에서 중요 역할을 하는 독특한 특징을 지닌 조류를 구하려면 사냥과 우발적 죽음을 막는 별도의 예방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공동 저자인 마누엘라 곤살레스-수아레스 교수는 "위협을 멈추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250~350종의 조류가 다음 세기까지 생존하려면 번식 프로그램과 서식지 복원 같은 보완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가장 독특한 멸종 위기 조류 100종만을 위한 보존 프로그램을 먼저 시행해도 조류의 형태와 크기 다양성의 68%를 보존할 수 있다"며 "이런 접근법이 생태계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논문 제1 저자인 스튜어트 박사는 "조류는 전례 없는 멸종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서식지 전반에 걸친 인간 위협을 줄이는 즉각적인 조치와 가장 독특하고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종들을 위한 목표 지향적 구조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Ecology & Evolution, Kerry Stewart et al., 'Threat reduction must be coupled with targeted recovery programmes to conserve global bird diversity',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59-025-02746-z
scite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