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자영업자 10명 중 7명, 5년도 못버틴다

입력 2013-03-07 17:21   수정 2013-03-08 03:20

서울시 상권 지도 - 생존률 전국 최저

서울시 "소상공인에 1조 융자"



서울에서 창업을 희망하는 사람은 많지만 치열한 경쟁으로 신규 사업체 10곳 중 7곳은 5년 안에 문을 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산하 서울신용보증재단이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에서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창업한 신규 사업체 중 창업 후 5년 생존율은 30.4%에 불과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서울이 생존율이 가장 낮다.

업종별로 보면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23.3%),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서비스업( 26.1%), 건설업(27.8%)이 평균 생존율보다 크게 낮았다.

서울에서 창업 후 1년 생존율은 71.1%였으나 2년 54.3%, 3년 43.8%, 4년 36.4%로 매년 낮아졌다. 서울에서 창업을 원하는 사람이 많다 보니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는 게 신용보증재단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도 서민경제를 이끌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발벗고 나섰다. 시는 지난달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1조원의 융자 지원을 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시가 올해 투입하는 ‘중소기업육성자금’은 △시설자금 2000억원 △재해 중소기업 지원 200억원 △영세 자영업자 지원 300억원 △일반자금(경제 활성화 자금 지원, 창업기업 지원, 일자리 창출 지원) 7440억원 등이다. 특히 시는 올해 영세 자영업자에게 지난해보다 100억원 늘어난 300억원을 지원하는 등 기초수급자와 저신용자 등에 대한 자립 기반을 위해 자금 지원을 확대했다.

뿐만 아니라 시는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준금리를 현재 최저 금리인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로 정하고 가산금리도 연 0.8~1.3%포인트 인하해 상한금리(기준금리+가산금리) 범위에서 대출기관이 금리를 결정하도록 했다. 강희은 서울시 소상공인지원과장은 “경기 불황으로 자금 사정이 어려운 소상공인이 금리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 개그우먼 배연정, '국밥' 팔아 하루 버는 돈이

▶ 이경규 딸, 라면 CF서 '폭풍 미모` 뽐내더니

▶ "야동 못 끊는 남편 어쩌죠" 女교수 대답이…

▶ '아빠 어디가' 출연 한 번에 2억5천만원 횡재

▶ 女비서 "사장님 몸종 노릇에…" 눈물 고백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