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5% "창조경제, 별다를 게 없다"

입력 2013-04-21 17:19   수정 2013-04-22 02:49

미래부, 6천여명 설문 조사

"개인 창의력 발휘 환경 조성해야" 31%…"미래 먹거리 제시" 11%



박근혜정부가 내세운 ‘창조경제’가 과거 정권들의 경제구호와 별반 다를 게 없다는 인식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조경제를 실현한다고 하더라도 주체는 정부보다는 국민 전체가 돼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미래창조과학부가 한국창의재단,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현대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지난 5일부터 9일까지 총 65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55.5%인 3583명이 ‘창조경제와 이전 경제가 다르지 않다’고 답했다. 나머지 44.5%는 ‘다르다’고 응답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에서 창조경제가 ‘이전과 다를 게 없다’는 응답률이 67.9%로 가장 높았다. 20대와 40대에서도 창조경제의 차별성에 대한 부정적인 응답이 60%에 육박했다. 전체적으로 50대 이상에서만 창조경제가 이전 경제와 ‘다르다’는 응답률이 높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조경제를 실현해야 한다면 누가 가장 중요한 경제주체가 돼야 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44.6%인 2914명이 ‘정부, 기업, 시민사회, 국민 개개인 등 모두 다 중요하다’고 답변했다. 정부가 주도해야 한다는 답변은 22.2%에 그쳤다.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미래부에 바라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31.0%가 ‘국민 개개인의 상상력과 창의력이 발현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꼽았다.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미래 먹거리 제시’라고 답한 비율은 11.1%에 불과했다. 응답자들이 정부에 새로운 산업이나 시장을 기대하기보다는 규제를 완화하고 자유롭게 기업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길 바라는 것으로 해석된다.

장보현 미래부 창조경제기반담당관은 “설문조사 결과, 창조경제의 의미에 대한 논쟁보다는 구체적인 실천전략과 과세를 제시하고 이행하는 것을 국민들이 바란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단순 구호나 수사에 그치지 않고 국민들 개개인의 생활 속에서 성공 스토리를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




▶[핫이슈] 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
▶[한경 스타워즈] 대회 한 달만에 전체 수익 1억원 돌파! 비결은?





▶ 임창정 "아내한테 무릎 꿇고 빌어" 폭탄 발언


▶ '외출하고 돌아온 아내의 속옷 검사를…' 경악


▶ "아이돌 女가수 성접대 가격은…" 폭탄 고백


▶ 배우 김형자 "곗돈 20억 사기 친 가수는…"


▶ 박시후 고소한 A양, 연예인 지망생 이라더니…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