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팔문화'로 과잉정보 짜증
편파적 정치 트위트에 싫증
신규 가입 1년새 절반 줄어

한국경제신문이 소셜네트워크 분석 전문업체인 사이람에 의뢰 분석한 결과 지난 3월 한 달간 한국인이 작성한 트위트 개수는 1억4267만개로 지난해 12월(1억7204만개)보다 17% 줄었다. 신규 가입자는 작년 1월까지만 해도 20만명이 넘었지만 올 3월엔 절반인 10만여명에 그쳤다.
사이람은 트위터에 가입한 한국인을 총 600만여명으로 추정했다. 이 중 실제 트위트를 작성하는 등 활동하는 가입자는 100만명 안팎으로 보고 있다. 500만명은 가입만 했을 뿐 트위터를 사용하지 않는 ‘휴면 가입자’란 얘기다.

트위터 접속 빈도 조사에선 응답자의 14.4%가 최근 한 달간 한 번도 트위터에 접속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에 1~2회 접속하는 사람은 31.2%, 3~4회는 17.6%, 5~6회는 9.8%였다. 또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4.8%는 트위터 접속 빈도가 1년 전에 비해 ‘적어졌다’고 답했다. ‘많아졌다’는 대답은 19%에 그쳤다.
트위터에서 사람들이 떠나는 이유와 관련,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쓸모없다고 생각하는 정보들에 계속 노출되다 보면 심리적 부담감이 들 수밖에 없다”며 ‘맞팔’로 인해 관심없는 정보까지 자신의 타임라인을 뒤덮어 버리는 트위터의 특성을 이유로 들었다. 또 정치적 트위트가 범람하면서 적지 않은 이용자들이 피로감을 느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트위터에 비해 덜 개방적인 페이스북이나 지인들끼리 소규모로 소통할 수 있는 NHN의 밴드와 같은 ‘폐쇄형 SNS’는 여전히 인기를 끌고 있다. 밴드는 서비스를 시작한 지 250여일 만에 누적 가입자 수 920만명을 돌파할 정도로 사람들이 몰리고 있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 이제 대세는 페이스북·밴드
▶ 알리 로가니 트위터 최고운영책임자 "한국 사용자 늘 수 있도록 투자 확대하겠다"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