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정여사' 카피슈머

입력 2013-05-20 17:29   수정 2013-05-21 00:44

신상품 뜯어본 후 환불…얌체 짝퉁 제조업자 늘어


이달 초 서울 시내 A백화점 여성복 매장에 한 남성이 옷 세 벌을 들고 찾아왔다. 그는 “여동생이 2주 전 샀는데 옷이 별로라고 한다”며 환불을 요구했다. 매장 직원이 제품을 살펴보니 밑단마다 분필 자국이 남았고, 밑단 이음새엔 한번 뜯었다 봉합한 흔적도 보였다. 제품을 뜯어본 뒤 다시 엉성하게 박음질한 것이다. 환불을 거부하자 이 소비자는 “원래 옷이 그랬다”며 소란을 피우다 고객상담실에 정식으로 민원을 넣고 돌아갔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백화점 패션매장들이 이 같은 ‘카피슈머(copysumer)’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카피슈머는 복제(copy)하는 소비자(consumer)라는 뜻으로, 유명 브랜드의 신상품을 산 뒤 짝퉁을 만들기 위한 견본으로 사용한 후 봉합해 환불받는 얌체족을 말한다. 주로 ‘짝퉁’ 제조업자로 추정된다. 백화점 관계자는 “카피슈머는 최고급 명품엔 접근하지 않고 이보다 한 단계 급이 낮은 고급 여성복을 주요 타깃으로 한다”고 전했다.

계절별 신상품이 나오는 매년 2월, 5월, 8월, 10월 어김없이 나타나는 카피슈머에겐 몇 가지 특징이 있다. 5~10분 만에 여러 벌의 옷을 입어보지도 않고 구입한다. 구매 기록을 남기지 않기 위해 백화점 카드를 쓰지도, 포인트를 쌓지도 않는다. 환불을 요구할 때는 다른 사람을 대신 보낸다. 환불만 전문으로 대행하는 업자들인데, 매장 측에서 문제를 제기하면 블랙컨슈머로 돌변하는 탓에 직원들이 진땀을 흘린다.

현대, 신세계 등 일부 백화점은 ‘디자인 무단 도용과 관련해선 환불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안내문을 매장에 붙여 놓았다. 하지만 심증만 있을 뿐 물증은 없는 카피슈머를 원천 차단할 방법은 없다는 게 이들의 하소연이다. 롯데는 2010년 비슷한 안내문을 매장에 붙였다가 지금은 떼어냈고, 갤러리아도 내부적으로 대응 방안을 검토했으나 실제로 시행한 적은 없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술자리서 만난 女와 여관 갔다가 '이럴 줄은'
아내에 "성관계하자" 했다가 '전자발찌'…왜?
女배우, 노팬티 노출 사고 '중요 부위가…헉'
'은지원은 박근혜 아들?' 50대女 폭탄 발언에
전현무-심이영, 돌발키스 후 잠자리까지 '경악'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