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만에…대우조선 새주인 찾기

입력 2013-06-09 17:13   수정 2013-06-09 23:36

정부, 주관사 선정 작업 돌입
산은 지분 31% 묶어 매각 검토

"조선 불황 … 누가 선뜻 사겠나"
매각 타이밍 놓고 논란 분분



정부가 대우조선해양의 지분을 팔기 위해 주관사를 선정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정부가 갖고 있는 지분 17.15%뿐 아니라 산업은행이 갖고 있는 지분(31.3%)도 같이 파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정부와 산업은행 지분을 묶어 팔면 경영권을 파는 효과가 있어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정부가 대우조선해양 지분 매각에 나서는 것은 2008년 11월 이후 4년여 만이다.

▶본지 5월13일자 A21면 참조

금융위원회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지난 7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대우조선해양 주식 매각주관사 선정을 위한 제안 요청서에 따르면 정부는 금융위가 보유하고 있는 3282만5316주를 팔기 위해 국내 증권사와 해외 증권사가 짝을 지어 컨소시엄을 구성해 들어오도록 요청했다. 매각 방식은 경쟁입찰, 시간외 대량매매(블록세일) 등으로 추진하되 주관사의 제안 내용을 고려해 확정하기로 했다.

손병두 공자위 사무국장은 “자산관리공사(캠코)가 갖고 있던 부실채권정리기금의 운용 시한이 지난 2월 만료돼 금융위로 넘어왔기에 이를 매각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 지분만 팔 것이냐, 산업은행 보유분까지 묶어 팔 것이냐는 결정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시장의 관심은 대우조선 경영권 매각 여부에 쏠려 있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가진 지분을 산업은행에 재위탁해 지분을 묶어 파는 방식이 거론되고 있다. 정부와 산업은행 지분을 묶어 48.45%를 일괄매각할 경우 인수자는 최소 3조원가량을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이 경영권을 매각하기에 적합한 시점이냐는 지적도 적지 않다. STX조선해양이 지난 4월 자율협약 형태로 채권단 관리 아래 들어가는 등 조선업계가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매수자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이에 따라 정부가 소수 지분만 먼저 블록세일한 뒤 추후 시장 상황을 봐서 지배지분을 매각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외에 신주 발행을 섞어 인수자 부담을 줄이고 블록세일을 병행하는 ‘하이닉스식 매각’ 등도 거론된다.

이상은/하수정 기자 selee@hankyung.com



▶ 법원, 키스톤의 리딩證 지분 의결권 일부 제한
▶ 웅진식품 인수전, 오리온도 가세
▶ [마켓인사이트] 사정 칼바람에 휘청거리는 M&A
▶ [마켓인사이트] 싱가포르PEF, 애플플라자 1350억에 인수
▶ '레고 마니아' 김정주 NXC 대표, 레고장터 브릭링크 샀다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