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 있어야 '나홀로 노후' 풍족…지출 우선순위 따져라

입력 2013-08-04 13:52  

삼성생명과 함께하는 라이프디자인 - (10) 싱글족의 노후 준비


‘이제는 1인 가구가 대세.’ 늘어가는 1인 가구 추세에 맞춰 제작된 한 예능 프로그램의 광고 문구다.

소비 문화를 주도하며 화려하게 묘사되는 20~30대부터 자녀 교육 때문에 싱글이 된 기러기 아빠들, 이른바 ‘돌싱(돌아온 싱글)’이라고 불리는 40~50대의 이혼 남녀, 배우자와 사별로 혼자가 된 60~70대까지 1인 가구의 모습은 다양하다. 상황은 다르지만 누구나 언젠가는 홀로 남은 삶을 맞을 수밖에 없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990년 전체 가구 중 9%에 불과했던 1인 가구가 2010년 23.9%로 두 배 넘게 급증했다. 이유와 무관하게 이제는 1인 가구를 가족의 한 가지 형태로 인정하는 분위기다.

혼자서도 당당한 ‘싱글 라이프’를 즐기기 위해서는 능력이 뒷받침돼야 한다. 대체 소득원이 없는 싱글족은 국민, 퇴직, 개인연금을 통해 다른 사람들보다 적극적으로 노후 소득원 마련에 힘써야 한다. 은퇴 후 경제적인 안정을 위해 필요한 생활비를 미리 계산하고 연금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채워 나가야 한다.

싱글족은 본인의 소득이 유일한 수입원이다. 경제활동이 어려워지면 회복 불가능한 재정적 타격을 입을 수 있다. 갑작스럽게 소득이 끊기면 생활비와 의료비 공백이 생기는 악순환에 빠질 위험이 있다. 싱글족은 누구보다 꼼꼼하게 간병비와 의료비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안정적인 직장을 가진 싱글족이라면 소비를 통제하는 것만으로도 재정적으로 풍족해질 수 있다. 대부분 싱글족은 현재 지향형 소비성향이 있다. 젊을수록 유행을 따르는 지출이 많다. 이혼 혹은 사별한 싱글족 역시 그동안 배우자에게 일임했던 가계 재정을 본인이 관리하면서 무분별한 소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당당하고 멋진 싱글 라이프는 저절로 얻어지는 게 아니다. 젊은 세대의 화려한 싱글 라이프를 노후에도 이어가려면 미리부터 준비해야 한다. 싱글족은 여러 가족을 보살펴야 하는 기혼과 달리 당장의 편안함과 안락함에 빠져 살기 쉽다.

현재의 삶을 즐기기보다 미래의 더욱 멋진 싱글 라이프를 위한 준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박기출 삼성생명 은퇴연구소장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막노동 인생10년, 돈벼락맞은 강씨 화제
▶[스토리텔링 수학 지도사 민간자격증 수여 !]


▶ [이승원의 '딱 한 종목' 충전시간 개선·인프라 확충 필요
▶ [와우넷 이벤트] 한소장·박성규실장, WINE-차트 서비스 등
▶ [베스트 전문가 3인의 주간 유망주 3선] 삼성SDI·에스텍파마·삼성테크윈
▶ [와우넷 전문가 포커스] "3분기 실적으로 관심 이동…2차전지·조선주 매력적"
▶ [방송에서 못다한 이야기] 원재료값 하락·원화 강세…청정원 브랜드 '대상' 주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