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불위' 감사원 '역풍' 맞다

입력 2013-08-29 17:21   수정 2013-08-30 02:11

위기의 '빅 브러더' 감사원

과도한 권한·독립성 논란…'개혁' 목소리



‘청와대 빼고는 대한민국 모두를 감사할 수 있다’는 감사원이 요즘 위기에 직면했다. 양건 원장의 중도 사퇴를 계기로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 논란, 과도한 ‘슈퍼 갑’ 권한 등이 도마에 올랐다.

감사원이 국가 최고 감사기관이자 대통령 직속 헌법기관이라는 조직에 걸맞지 않게 ‘감사의 칼’을 자의적으로 휘두르고 있다는 지적이다. 청와대 줄서기와 4대강 감사 번복 논란, 감사원장 사퇴를 둘러싼 잡음 등 최근의 사례만 보더라도 그동안 물밑에 잠겨 있던 감사원의 문제점을 수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정권을 잡은 세력이 입맛에 맞춰 감사원을 좌지우지하려 하고, 감사원은 그런 권력의 눈치를 살필 수밖에 없는 근본적인 이유는 감사원이 전체 권력 지도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위상이 그만큼 커졌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정부 회계 집행의 적정성을 따지는 회계감사와 공직자의 위법·비위 사실을 밝히는 직무감찰에 더해 공공자금이 들어간 각종 정책사업의 타당성을 살피는 막강한 정책감사 권한을 가지면서 관가 안팎에서 “공무원의 99.9%는 감사원에 종속돼 있다”는 자조 섞인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감사원이 공직사회의 ‘빅 브러더’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정치적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감사원이 벌이는 대형 정책감사들은 때때로 코드 감사, 표적 감사 논란을 촉발하며 순수성을 의심받는 지경이다. 신규 예산 확보와 기관 평가에 목매는 공공기관을 상대로 정책감사라는 무기를 휘두르며 ‘슈퍼 갑(甲)’처럼 군림하고 있다는 따가운 시선도 받고 있다. 현장 감사관들의 전문성 부족과 실적 쌓기식 감사로 애꿎은 정책들이 여론의 질타에 밀려 사장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장영수 고려대 법대 교수는 “감사원법에 감사원의 감사 범위와 권한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는 게 문제”라며 “정책감사는 사후 객관적인 평가 수준에 머물러야지 정책 결정의 옳고 그름 등 정치적 판단이 개입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감사원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야당은 감사원장의 대통령 수시보고 폐지, 감사위원 임명시 국회 인사청문회 실시 등의 내용을 담은 감사원법 개정안을 9월 정기국회에서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여야 일각에서는 대통령 직속의 감사원을 국회 산하로 옮기자는 주장도 펴고 있어 감사원 개혁을 둘러싼 정치권 논의가 달아오를 전망이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




박진영, 美서 '적자'나더니 99억을…충격
女배우, 알몸으로 '성인영화' 촬영하다 그만
고영욱, 10대 女 성폭행 후 어머니가…눈물
미혼女에 '혼전 성관계' 묻자 대답이…반전
최다니엘, 비앙카에 '대마초' 팔더니 결국…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