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한가 30% 시대③] ELS·ETF '안정성' 이상 없나…저유동성주식 등 '재평가' 효과

입력 2015-05-26 09:40  

[ 이민하 기자 ]
주식시장이 동상이몽(同床異夢)격 논쟁으로 시끌벅적하다. 다음달 15일부터 가격제한폭(상·하한가)이 두 배로 늘어나는데 시장참여자들의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드러나서다. 코스피시장의 가격제한폭은 1998년 12월 ±12%에서 ±15%로 확대된 지 17년 만에, 코스닥시장은 2005년 3월 이후 10년 만에 변화다. 금융당국은 동적·정적 '2중 가격안정화장치'로 기업가치의 재평가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하는 반면에 직·간접투자자들은 두 배로 늘어난 손실 가능성에 고민이 깊어졌다. [한경닷컴]은 상·하한가 30% 시대를 맞이해 4회에 걸쳐 대응책을 찾아나서본다. [편집자주]

거래제한폭 확대에 따라 유동성이 적은 개별주식부터 간접투자상품들까지 변화를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개별주식 중 '저유동성'으로 저평가를 받았던 종목들은 재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생겼다. 건전한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시장이 제 기능을 발휘해 적정 가격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간접투자상품의 경우도 고유의 안정성은 유지하면서 상품별 '색깔'은 뚜렷해져 투자매력이 높아질 수 있다. 지수형 상장지수펀드(ETF)와 기타 주가연계증권(ELS)의 전략적인 활용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 지수형 ELS 등 간접상품 '안정성' 이상 無…레버리지·인덱스 ETF '차별성' 커져

#지난해 결혼한 회사원 이정균 씨(36)는 스스로를 '안전제일주의 투자자'라고 부른다. 이 씨는 개별종목에 직접 투자는 절대 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세우고 지키고 있다. 최근의 내츄럴엔도텍 급락 사태처럼 예상치못한 위험을 피하고 싶어서다. 대신 간접투자상품인 지수형 ELS에 꾸준히 가입하고 있다. 직접 매매를 할 경우에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ETF 정도를 사고 팔고 있다.

이 씨는 그러나 이마저도 그만둬야 할까 고민 중이다. 다음 달 가격제한폭이 두 배로 커지면서 ELS나 ETF도 변동성 확대에 따라 위험해지는 게 아닐까 걱정이 생겼기 때문이다.

과거 금융위기 이후 변동성이 커진 시장에서 ELS에 투자했다가 원금손실을 경험해본 투자자들 중에서는 이 씨 같이 가격제한폭 확대에 따라 ELS 상품의 위험성도 커지는 게 아닐까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 씨는 "4~5년전엔가 고수익률을 추구하는 ELS 상품에 가입했다가 오히려 투자원금 1000만원 중 200만~300만원을 까먹은 일이 있다"며 "변동폭이 커지면서 손실 가능성도 더 커지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ELS 상품은 기초자산의 주가지수 움직임 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금융상품이다. 기초자산의 주가지수를 구간별로 나눠서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에는 약정된 수익률을 보장한다. 다만 정해진 구간을 벗어날 경우에는 손실을 보는 경우도 생긴다.

그러나 ELS 상품을 개발·판매하는 증권사들은 가격제한폭 확대에 따라 ELS의 안정성이 훼손될 일은 없다고 강조했다. 기존에 발행된 ELS나 앞으로 나올 신규 ELS에도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는 설명이다.

강종원 하나대투증권 상품개발팀장은 "현재 시장에서 주를 이루는 ELS 상품은 코스피200이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 유로스탁스50(Eurostoxx50) 같이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이른 바 '지수형' 상품이 대부분"이라며 " 가격제한폭 확대된다고 해서 평소 1~2%포인트 미만 수준에서 움직이는 지수의 변동폭이 갑자기 30%씩 움직이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특정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삼는 '종목형' ELS 상품이 거의 없기 때문에 더더욱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게 증권사들의 입장이다.

이경수 신한금융투자 ELS-OTC(장외파생상품) 부서 과장은 "3년 전까지만 해도 이자율 20~30%에 달하는 종목형 상품들이 발행되기도 했지만, 손실 상황들이 이어진 탓에 종목형 ELS 상품에 대한 수요가 줄면서 최근에는 신규 상품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개별주식처럼 거래되는 ETF의 경우도 큰 우려가 없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중론이다. 오히려 간접투자상품 고유의 특색이 가격제한폭 확대로 인해 보다 선명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ETF인 KODEX 레버리지의 경우 가격제한폭은 이론상 ±60% 수준까지 상승할 수 있고, 인버스 ETF는 가격제한폭 확대로 인해 보다 전략적인 위험회피(헤지) 수단으로 쓰일 가능성도 커졌다.

시장 급변 시에는 서킷브레이커(CB) 등 제동 장치를 통해 변동성을 제한 할 수 있다. 변동성 완화장치들은 당일 변동폭에 따라 1~3단계로 나눠 적용된다.

거래소 측은 "장중 급등락이 펼쳐지더라도 '이중 속도조절 장치'와 CB 적용으로 완급조절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동적 VI와 새로 도입될 정적 VI 등 변동성완화장치를 통해 주가급변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유동성종목 '재평가'로 신분 상승?…작지만 강한 '중소형주' 선별

가격제한폭 확대로 거래량이 저조했던 저유동성종목에 주가 재평가 기대감이 살아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20일까지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731개사의 1개월간 일평균 거래량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하위 100개사의 일평균 거래량은 평균 6000주 안팎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상위 100개사의 일평균 거래량은 평균 320만주 수준이었다.

일평균 거래량이 1000주도 채 되지 않는 종목도 미원상사 서울가스 조흥 미원에스씨 신영와코루 BYC 남양유업 등 7개나 됐다.

이들은 상장 주식수가 적거나, 최대주주의 보유 지분이 많아 유통주식 수가 적은 종목들이다. 때문에 투자자들은 그동안 이들 종목에 대해 저평가 분석이 나와도 선뜻 투자에 나서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나 앞으로 가격제한폭 확대로 거래량이 늘어나게 되면 그동안 '게걸음'을 보이던 저유동성종목들의 주가에도 건전한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시장에서 적정 가격 발견 기능이 살아나는 셈이다.

가격제한폭 확대에 따른 거래량 증가는 과거 사례에서도 나타난다. 한국거래소가 과?네 차례 가격제한폭 확대 시 전후 6개월 일평균 거래량을 비교한 결과, 1995년을 제외하고 모두 확대 시행 후 거래량이 전보다 증가했다.

1998년 가격제한폭이 12%에서 현재의 15%로 확대됐을 때는 거래량이 1억70만주에서 2억3900만주로 2배 넘게 늘었다.

증시 전문가들은 저유동성종목 중에서도 특히 중소형주들의 재평가가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몸집이 무거운 대형주보다는 중소형주의 상승 탄력이 더 강하다는 판단에서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별 거래일 대비 상한가 도달 빈도는 대형주가 1.6%에 그친 반면 중형주와 소형주는 각각 20.0%, 92.7%에 달했다.

특히 저유동성종목에는 시가총액이 큰 대형주들이 많기 때문에 향후 재평가가 기대되는 우량 중소형주를 찾는 것이 핵심이란 설명이다.

실제 거래량 하위 100개 종목의 거래량 합계는 단 65만3887주로 코스피 시장전체 거래량의 0.16%에 그치지만, 시가총액합계는 46조4100억원으로 코스피 전체 시총합계의 3.51%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김용구 삼성증권 연구원은 "가격제한폭 확대는 중소형주에게 가격 변동성 확대의 기폭제로 작용하며 수혜를 가져다줄 가능성이 높다"며 "수익 기회가 두 배 늘어나는 만큼 손실 위험도 두 배 증가하기 때문에 펀더멘탈(기초체력)에 근거한 중소형주 옥석 가리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민하 / 박희진 한경닷컴 기자 minari@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대회 참가자 평균 누적수익률 40%육박! '10억으로 4억 벌었다'
[특집_가계부채줄이기] '그림의떡' 안심전환대출 포기자들, 주택 아파트담보대출 금리 비교로 '반색'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