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동맹국과 희토류 공조…中, 포드에 벌금 보복

입력 2019-06-05 15:52  

美, 韓·日·EU와 공급망 구축
中 "포드 현지법인 반독점 위반"
시진핑, 러 방문 '밀착 과시'



[ 선한결 기자 ]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연일 난타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중국이 희토류 공급 제한을 주요 카드로 쓸 낌새를 보이자 미국은 희토류 자급자족안을 마련해 한국 등 동맹국과 공조하기로 했다. 중국은 미국 자동차회사 포드의 중국 내 합작법인에 거액의 벌금을 부과했다.

미국 상무부는 4일(현지시간) ‘주요 광물의 안정적 공급 확보를 위한 연방정부 전략’ 보고서를 내고 “중국과 러시아가 장기간 희토류 공급을 중단할 경우 ‘공급 쇼크’가 올 수 있다”며 “미국 정부가 미국 내 희토류 자원을 정확히 파악하고 채굴권을 신속히 승인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보고서는 또 “미국이 한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동맹국과 전략적 공조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장관급 포럼을 열어 동맹국의 희토류 수요와 공급 현황을 파악하고, 안정적인 수급망을 구축하라는 조언이다.

데이비드 번하트 미 내무부 장관도 이날 성명을 내고 “미국 내 희토류 채굴·탐색에 필요한 허가를 빠르게 내주겠다”고 밝혔다. 그는 “미 정부는 국가 안보와 경제 성장에 중요한 천연자원이 다른 국가에 의해 볼모로 잡히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는 이날 포드의 중국 내 합작법인인 창안포드오토모빌(창안포드)에 반독점법을 위반했다며 1억6228만위안(약 276억원) 규모의 벌금을 부과했다. 창안포드가 주력하고 있는 충칭 지역 작년 매출의 4%에 해당하는 액수다.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창안포드가 일정 가격 이상으로 자동차를 팔도록 강요해 충칭 일대 판매상의 가격 결정권을 빼앗고 소비자의 정당한 이익을 침해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는 이번 벌금을 공식적으로 미·중 무역분쟁과 연계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중국이 미국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자국 안에서 활동하는 미국 기업에 불이익을 줬다는 해석도 나온다. 창안포드는 포드 아시아태평양지사와 포드의 중국사업부 포드차이나가 각각 지분 35%, 15%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50%는 중국 충칭 기업인 창안자동차 소유다.

중국 정부는 러시아와의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5일 러시아 방문에 앞서 “중·러 관계가 역대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며 “양국은 서로의 핵심 이익과 중대한 문제에 대해 서로 확고하게 지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중국은 어떤 위험과 도전에도 대응할 수 있는 조건과 능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