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견된 물난리?…서울시 수방·치수 예산 896억 줄었다

입력 2022-08-09 14:26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서울시가 올해 수방 및 치수 예산을 900억원가량 줄인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예상된다.
9일 서울시의 `2022년 예산서`에 따르면 시는 올해 수방 및 치수 분야에 4천202억원을 배정했다.
2021년 5천99억원보다 약 896억원(17.6%) 줄어든 규모다. 크게 치수 및 하천관리가 1천517억원에서 1천88억원으로 429억원, 하수시설 관리가 3천581억원에서 3천114억원으로 467억원 각각 감소했다.
일반회계 세부항목을 보면 노후수문 개량 및 빗물펌프장 시설 보강 등 수방대책 사업 예산이 208억원에서 176억원으로 32억원 줄었고, 빗물관리시설 확충도 31억원에서 19억원으로 12억원 삭감됐다. 하천복원 및 정비사업 역시 745억원에서 399억원으로 347억원 깎였다.
서울시는 애초 4천450억원의 예산을 편성했지만, 더불어민주당이 다수였던 지난 시의회에서 248억원(5.9%)가 삭감됐다는 입장이다.
서울시가 최근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안전등급 D등급 이하인 노후·불량 하수시설물 정비 등에 292억원을 배정했지만 이번 폭우 피해를 막기에는 뒤늦은 조치였다.
2010년 9월 광화문과 강남 등 도심 침수 피해와 2011년 7월 우면산 산사태를 겪으면서 서울시는 수방·치수 예산을 확대해왔다.
2011년 8월 우면산 산사태 이후 오세훈 당시 시장은 "10년간 5조원을 투입해 시간당 100㎜ 집중호우에도 견딜 수 있도록 수해 안전망을 개선하겠다"고 발표했다. 당시 대책에는 하수도 관거 용량 확대, 방재용 대심도 터널 도입 등이 포함됐다.
그러나 직후 오세훈 시장이 물러나고, 박원순 시장이 취임하면서 대심도 터널 공사가 7곳에서 1곳으로 줄어드는 등 일부 사업들은 제대로 실행되지 못했다.
서울시는 "지난 10년간 투입한 예산이 3조6천792억원"이라며 "총 45개 사업 중 40개 사업을 완료했고 대규모 예산이 소요되는 사업들은 마무리 단계에 있어 수방 관련 예산이 2020년부터 감소 추세에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상기후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잦아지는 상황에서 대책이 미흡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