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카페·패스트푸드점서 일회용컵 '9억4천개' 썼다

입력 2024-05-12 06:08  


지난해 프랜차이즈 카페와 패스트푸드점에서 일회용 컵 9억4천만개가 쓰인 것으로 파악됐다.

12일 환경부에 따르면 일회용품 사용량 감축을 위해 환경부와 협약한 프랜차이즈 카페와 패스트푸드점에서 지난해 쓰인 일회용 컵은 9억3천989만2천여개였다.

종이컵이 약 3억8천219만9천개, 합성수지(플라스틱) 컵이 약 5억5천769만4천개 사용됐다.

작년 프랜차이즈 카페와 패스트푸드점 일회용 컵 사용량은 10억개가 넘은 재작년(10억3천590만6천여개)보다 9.3% 줄어든 것이다.

다만 작년 수치는 17개 브랜드 일회용 컵 사용량이고, 재작년 수치는 올해 협약을 갱신하지 않은 카페베네와 커피빈을 포함해 19개 브랜드 사용량이다.

실제 일회용 컵이 덜 쓰였을 수 있지만, '집계 대상'이 줄면서 사용량 수치가 줄어든 측면도 있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일회용 컵 사용량이 폭증하기 전인 2019년(약 7억7천311만3천개)과 비교하면 작년 사용량이 약 21.6% 많았다. 2020년과 2021년 사용량은 각각 약 9억6천724만8천개와 9억9천321만여개였다.

지난해 카페나 패스트푸드점이 회수한 일회용 컵은 약 4천403만1천개에 그쳐 사용량의 4.7%에 그쳤다.

재작년엔 약 1억48만4천개가 회수돼 회수율이 9.7%로, 작년과 재작년 간 회수량은 56.2% 감소하고 회수율은 5%포인트 낮아졌다.

일회용 컵 사용량을 줄이기 어렵다면 차선은 재활용을 늘리는 것이다.

재활용, 특히 '고품질 재활용'을 위해선 '같은 재질의 컵'끼리 모아져야 하기에 각 브랜드에서 고객에게 내준 컵을 자체 수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음료용 합성수지 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타이렌(PS) 등 페트(PET)보다 가볍고 싼 재질로 제작된다.

PE와 PP, PS는 PET와는 물론이고 서로 간에도 성질이 다르고 녹는점도 달라 분류돼야 재활용할 수 있다.

환경부는 코로나19 대유행이 끝나면서 매장 내에서 일회용 컵을 사용하는 경우가 줄어 회수량이 감소했다고 추정한다.

코로나19가 유행할 때 감염 우려에 매장에서 음료를 마실 때도 일회용 컵을 쓰던 사람들이 이젠 매장에선 다회용 컵을 사용하고, 음료를 매장 밖으로 가지고 갈 때만 일회용 컵을 써서 매장으로 돌아오는 일회용 컵이 줄었다는 것이다.

매장에서 회수되는 일회용 컵은 매장에서나 매장 바로 주변에서 음료를 마신 손님이 매장에 버리고 가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작년 일회용 컵 회수율은 코로나19에 프랜차이즈 카페 내에선 음료를 마시는 것이 아예 금지되는 등 거리두기 조처가 이뤄진 2020년(14%)이나 2021년(13%)보다도 낮다.

'매장에선 다회용 컵, 음료를 매장 밖으로 가지고 나갈 때만 일회용 컵' 문화가 정착된 것 외에 회수율이 떨어진 다른 이유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카페와 패스트푸드점에서 일회용 컵 사용량은 여전히 많고 재활용을 위한 회수율은 큰 폭으로 떨어졌지만, 관련 정책은 유명무실해지고 규제는 완화된 상태다.

환경부는 일회용 컵 보증금제를 재작년 12월 세종과 제주에서 축소 시행한 뒤 전국 확대 계획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에 제도 이행 동력이 떨어진 상태로, 지방자치단체들만 고군분투 중이다.

프랜차이즈 카페와 제과점 등에서 음료를 일회용 컵에 담아 내줄 때 300원의 보증금을 받고 손님이 컵을 반납하면 보증금을 돌려주는 보증금제는 일회용 컵 재활용률을 높이고 고품질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다.

제주도에 따르면 매장의 보증금제 참여율은 한때 96.8%에 달했으나 올해 1월 54.7%로 떨어졌고, 참여 매장에서 사용된 일회용 컵 대비 반환된 컵 비율은 78.5%까지 올랐다가 올해 1월 60.7%로 내려갔다.

제주도가 올해 3월 '일회용 컵 보증금제 정상화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제도를 안착시키겠다는 의지를 보이면서 매장 참여율이나 컵 반환율이 소폭 반등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왜 우리만 부담을 져야 하느냐'라는 볼멘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 11월 식당과 카페에서 종이컵 사용을 금지하는 규제를 철회하는 등 일회용품 사용량을 규제가 아닌 '업계와 시민의 자발적 참여'에 기대 감축하려는 모습을 보여왔다.

그러나 프랜차이즈 카페와 패스트푸드점과 맺은 자발적 협약이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자발성에 의존하는 것이 실효적인지 의문이 제기된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조시형  기자

 jsh1990@wowtv.co.kr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