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파월 인선 이후 첫 연준 회의…한은 금리인상 잘했나?

입력 2017-12-12 09:14  

    16대 제롬 파월 의장으로 확정된 이후 첫 FOMC, 즉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가 오늘부터 양일 간 열리는데요. 교체기에 있는 만큼 회의를 주재하는 재닛 옐런 의장이 큰 변화를 주기는 힘들지 않겠느냐 이렇게 예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 마지막 회의인 만큼 내년도 Fed의 통화정책 방향을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중심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관심이 되고 있는 올해 마지막 FOMC 회의가 오늘부터 양일 간 열리는데요. 의미가 크지 않습니까?

    -제롬 파월, 상원 인사청문회로 절차 마무리

    -내년 2월, 재닛 옐런에 이어 16대 의장

    -재닛 옐런, FOMC 회의 주재 두 번만 남아

    -월가, 교체 때까지 큰 변화 주지는 못할 듯

    -Fed를 믿고 주식 사는 ‘Fed 풋’ 유지도 관심

    이번 회의 결과는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정책금리, 1∼1.25%에서 1.25∼1.5%로 인상

    -15년 12월 이후 5차례, 올 들어 3차례 단행

    -자산매각, 내년 1월부터 월 200억달러 확대

    -경기 회복세, 10월 회의부터 ‘완만’->‘견실’

    -경제전망, 9월 때는 올해 2.4% 내년 2.1%

    -제롬 파월, 올해와 내년 성장률 각각 2.5%

    일부에서는 이번 회의가 김이 빠질 것이라는 시각도 있는데요. 왜 이런 시각이 나오는 것입니까?

    -세제 개혁, 우선순위 재정정책으로 넘어가

    -재닛 옐런 주재하나 큰 변화 주기 힘들어

    -제롬 파월, 적극 의향 표시하는 인물 아냐

    -남은 FOMC 이사 인선 늦어져 불완전한 형태

    -월가, 금융위기 이후 가장 맥이 빠진 Fed 회의

    이번주 중에 세제 개혁안도 상하원 합동위원회 조정에 들어가는데요. 세제 개혁 효과가 나타날 경우 금리인상과 자산매각은 빨라지지 않겠습니까?

    -Fed 금리인상경로, ‘go stop’과 3·3·3전략

    -‘3·3·3’ 전략, 3년간 매년 3차례 3%로 인상

    -자산매각. 올해 10월부터 매월 100억$ 회수

    -3개월마다 100억$ 상향, 최대 500억$까지

    -세제 개혁효과. 내년 성장률을 0.3%p 제고

    -금리인상과 자산매각, 로드맵보다 빨라질 듯

    파월 시대를 맞아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되는 것은 도드-프랭크 법이 개정되는 문제이지 않습니까?

    -제롬 파월, 옐런 의장과 다른 시각을 피력

    -단일금융법 ‘도드-프랭크 법’ 개정 불가피

    -대형은행-규제, 지방은행-철폐 등 투 트랙

    -미국 금융사 옥죄는 ‘볼커 룰’ 폐지 입장

    -월가에서는 환영, 학계에서는 ‘우려’ 표명

    증시 입장에서는 내년 2월 이후 파월 의장 시대를 맞을 경우 미국 증시가 어떻게 될 것인가도 관심이지 않습니까?

    -통화정책 운용, 버냉키-옐런의 골격 유지

    -도드-프랭크과 볼커룰 폐지, 금융사 활력

    -공화당 기조 복귀, 친월가-친기업-친증시

    -펀더멘털 견제, 미국경기와 기업실적 호조

    -골디락스 기대 속 거품붕괴 위기론도 고개

    이번 회의를 다른 국가들의 중앙은행도 관심을 가질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최근에는 Fed보다 다른 중앙은행이 변화를 주고 있지 않습니까?

    -14일, ECB와 영란은행 올 마지막 회의

    -ECB, 800억유로->600억유로->300억유로

    -캐나다 중앙은행 이어 영란은행 금리인상

    -BOJ, 아베노믹스 2단계로 이행여부 주목

    -한국은행, 올해 마지막 회의에서 금리인상

    방금 말씀하신 대로 이번에 연준이 금리를 올릴 것을 감안해 우리 금리를 미리 올리지 않았습니까? 금리인상이 성급하지 않았느냐는 논쟁이 일어나고 있지 않습니까?

    -금리인상 1.5%, Fed 인상하면 동일한 수준

    -대외, 한미 금리역전에 따른 자금이탈 방지

    -대내, 강남지역 등 부동산 과열방지책 일환

    -경기, 반도체 쏠림 현상으로 질적으로 취약

    -금리인상, 가처분소득 감소와 역자산 효과

    -KDI, 한은의 금리인상이 성급했다는 평가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