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가계부채, 한국 은행권 위험 요인 될 것"(종합)

입력 2014-08-29 16:02  

<<세미나 내용 추가>>가계 빚, 건전성 계속 악화…대출규제 완화로 증가 가능성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1천4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가 한국 은행산업의 위험(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고29일 경고했다.

S&P는 저금리 환경과 주택담보대출 규제 완화가 맞물려 한국의 가계부채 증가세가 계속될 것이라고도 예상했다.

리테쉬 마헤시와리 S&P 전무는 이날 국제금융센터가 개최한 '중국 리스크가 한국 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 세미나에서 한국 은행산업의 잠재적 신용 리스크가 여전하다며 이런 견해를 밝혔다.

마헤시와리 전무는 "한국은 민간부문의 부채 수준이 높아서 경제 성장이 둔화하거나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등 경제여건이 나빠지면 신용도가 취약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한국 가계부채의 건전성이 지속적으로 악화돼 왔다"며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가 가계부채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말했다.

원화 강세로 수출 업체들의 경쟁력이 약화되는 점과 조선·해운·건설업종 구조조정이 아직 진행 중인 것도 약점으로 꼽았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국가신용위험과 은행신용위험의 연계성은 더욱 강해지는추세다. 국가 신용등급이 은행권 신용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다.

킴엥 탄 S&P 상무도 "지금 수준의 가계부채가 당장 금융 리스크를 일으키지는않겠지만 내수 진작에는 부담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S&P는 한국 은행권의 장기 신용위험에 대해선 우려를 표했지만, 단기적으로 신용위험이 커질 가능성이 작다고 봤다.

마헤시와리 전무는 "경제 전망이 좋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하, 주택담보대출 규제 완화로 당분간 신용 리스크가 커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몇 년간 한국 은행들이 대출 심사기준을 강화하고 부실채권을 상각했으며, 조선·해운·건설 등 취약 업종에 대한 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했다"며 신용등급 전망이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S&P는 한국기업들의 신용전망에 대해선 중국 시장 의존도가 심해져 위험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LG화학[051910]의 총매출 대비 중국매출 비중은 2012년 42%에서 지난해 44%로증가했고, 삼성전자[005930]는 14%에서 18%, 포스코[005490]는 8%에서 10%로 늘어난상태다.

권재민 S&P 전무는 "중국의 저성장은 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한국의 철강·정유·화학산업뿐 아니라 제조업에 대한 수요 또한 감소시켜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S&P가 평가한 국내 기업 40여개의 신용등급은 지난해 평균 BB+로 2009년에 비해 두 단계 낮아졌다.

권 전무는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며 "기술과 품질이 한층 개선된 중국기업과의 시장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