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계 구조조정 칼바람…대기업 살생부도 내달 '윤곽'

입력 2015-11-11 14:00  

부실징후 中企 40% 급증…D등급 105곳 중 상당수 법정관리 갈 듯

금융당국이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에서 구조조정 대상업체를 무더기로 선정한 것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선제 대응으로 우리 경제의 불안요인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다.

미국의 금리인상, 중국의 경기 둔화로 요약되는 이른바 G2(미국·중국) 리스크가 동시에 현실화되면 저성장 늪에 빠진 우리 경제는 설상가상의 국면에 봉착할 수있다.

1천100조원대로 불어난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여전한 가운데 기업부채 뇌관까지 터지면 민간부문의 빚이 금융 시스템을 흔들 수 있다는 위기감도 깔려 있다.

이달 중에는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로 변신한 유암코가 첫 구조조정대상 기업을선정하고, 다음달에는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대기업 수시 신용위험평가를 끝낼 예정이어서 '옥석 가리기'를 통한 구조조정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 경기 부진에 중소기업 줄줄이 휘청…구조조정 대상 작년보다 40% 급증 11일 금융감독원 발표를 보면 올해 정기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에서 C등급과 D등급의 부실징후기업으로 분류돼 구조조정 수술대에 오른 기업은 각각 70곳과 105곳으로 모두 175곳이다.

구조조정 대상은 지난해보다 40%(50곳) 늘어 세계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512곳)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2013년 112곳, 2014년 125곳에 이어 증가세가 이어진 가운데 올해는 증가폭이두드러졌다.

특히 최저등급인 D등급이 작년(71곳)보다 48%(34곳)나 늘어난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여기서 C등급과 D등급은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각각 '있다'와 '없다'로 판단된곳이다.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늘어난 것은 직접적으로는 평가를 강화한 영향이 컸다.

채권은행들은 평가대상 중소기업 1만7천594곳을 대상으로 신용위험평가를 거쳐이 가운데 재무구조가 취약한 1천934곳을 세부평가 대상으로 잡았다. 세부평가 대상은 작년보다 20%(325곳) 늘었다.

세부평가 대상이 늘어난 것은 선정 기준을 강화한 결과다.

종전에는 '최근 3년간'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이거나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기업이 대상이었으나 이번에는 '최근 2년간'으로 확대했다.

금감원 김동건 실장은 "채권은행들이 선제적인 기업 구조조정을 위해 엄격한 평가를 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본적으로는 경기 부진이 배경으로 꼽힌다.

저성장이 고착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올 정도로 경기회복이 더딘 가운데 특히중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의 경기 둔화는 수출 제조업체에 치명타가 됐다.

이번 평가에서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중소기업 가운데 60%(105곳)는 제조업체다.

금융당국은 이런 흐름 속에서 저금리에 기대어 연명하는 기업이 적지 않다고 보고 있다.

최근 한국은행의 񟭎년 기업경영분석'을 보면 작년 제조업 매출액 증가율은 -1.6%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61년 이후 처음으로 뒷걸음질했다. 한은 분류에 따르면 좀비기업 수는 2009년 2천698개에서 지난해 말 3천295개로 증가했다.

◇ 대기업 '살생부'도 이르면 내달 나온다 이번 평가결과에 따라 은행들은 7천524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이미3천20억원을 적립했으므로 추가로 4천504억원을 더 쌓아야 한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총 적립액은 지난해 평가 결과에 따른 4천854억원(추가 적립 2천526억원 포함)보다 55% 많다.

C·D등급을 받은 기업은 구조조정에 들어가야 한다.

C등급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대상이고 D등급은 채권금융사 지원 없이 자체정상화를 추진하거나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해야 한다. 이에 따라 D등급 105곳중 상당수는 법정관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워크아웃 대상 기업이 워크아웃을 신청하지 않거나 경영정상화 계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으면 채권은행은 신규 여신을 중단하고 만기가 된 여신을 회수하게된다.

채권단 주도의 기업 구조조정은 대기업에서도 진행형이다.

대기업 그룹 차원에서는 주채무계열 재무구조 평가제도에 따라 구조조정이 이뤄지고 있다.

금융감독당국과 금융권은 올해 대기업그룹 41계 계열을 주채무계열로 정했다.

이 가운데 재무구조가 취약한 11개 계열을 재무구조개선약정 대상으로 선정해자본확충, 자산매각, 사업구조 재편 같은 자구계획을 이행토록 하고 있다.

개별 대기업에 대해선 지난 6월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거쳐 35곳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추려냈는데, 금융감독당국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이달부터 다음달까지 일정으로 수시 신용위험평가를 진행 중이다.

이르면 다음달이면 추가로 대기업에 대한 옥석 가리기 결과가 나오는 셈이다.

금융당국이 그리고 있는 업종별 구조조정의 밑그림도 이르면 이달 중 윤곽을 드러낸다.

금융위원장이 주재하고 관계부처와 금감원, 국책은행 등이 참석하는 정부 내 협의체에서 업황 분석 및 전망, 구조조정 추진 방향을 내놓는 것이다.

금융 차원을 넘어 한국 기간산업의 경쟁력 차원에서 접근하는 게 특징이다.

대우조선해양을 포함한 국내 주요업체들이 대규모 부실을 드러낸 조선업종과 장기 침체에 시달리고 있는 해운, 석유화학, 철강, 건설 등 5대 업종이 일단 검토 대상이다.

금융위는 채권은행의 기업 신용위험평가를 토대로 부실기업에 대해서는 자구노력을 전제로 한 신속한 구조조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princ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