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독! ★패션] 응답하라 1994 vs 1997, 드라마 속 “우리들의 추억!”

입력 2013-11-04 08:45  


[손현주 기자] 서태지와 아이들, 대학 농구 등이 인기를 얻었던 지금으로부터 20년 전. 이제는 먼 옛날이 된 1994년 열풍이 전국을 강타하고 있다.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94’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뜨겁다. 형 만한 아우 없다는 세간의 걱정에도 불구하고 tvN ‘응답하라 1994’는 방영 이전부터 화제를 몰고왔다.

드라마 제작 소식이 알려진 이후부터 대중들의 관심은 전작인 ‘응답하라 1997’과 어떻게 다른 스토리일지, 그 시절 문화 코드를 어떤 방식으로 선보일지 관심이 집중된 바 있다. 이에 드라마 ‘응답하라 1994’에 대해 파헤쳐 보는 것은 물론 전작과 함께 비교해봤다.

1994 vs 1997


‘응답하라 1994’와 전작 ‘응답하라 1997’은 주인공들의 구수한 사투리가 돋보이는 드라마이다. 기존 드라마 공식의 틀을 깨는 사투리 사용은 시청자들의 귀를 사로잡기에 충분해 보였으며 파격적인(?) 주, 조연들의 비주얼과 다양한 까메오들의 출연은 눈을 사로잡았다.

두 작품에 있어 차이점이 있다면 역시 배경이 되는 시대이다. 비록 3년이라는 짧은 차이지만  ‘응답하라 1997’이 고등학생들의 고민과 사랑, 미래를 보여줬다면 ‘응답하라 1994’는 대학생 새내기들의 청춘과 낭만, 사랑을 다루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서태지와 아이들과 H.O.T라는 한 시대를 주름잡은 가수들은 물론, 삐삐와 다마고치, 대학 농구 등 그 시절 문화 코드를 보여주고 있다. 때문에 30~40대에게는 향수를, 10~20대에게는 새로운 문화를 보여주고 있다.

패션대결, 그땐 그랬지~


추억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문화적 코드는 물론 시청자들의 눈을 사로잡는 패션 또한 놓칠 수 없는 즐거움이다. ‘응답하라 1994’의 경우 대학 새내기답게 풋풋한 그 시절 스타일링을 보여주는 반면 ‘응답하라 1997’의 경우에는 한껏 멋 부린 교복패션을 연출했다.

먼저 ‘응답하라 1994’는 매 회 스타일리시한 대학생들의 패션을 선보이고 있다. 컬러풀한 힙합룩, 촌스러운 듯 트렌디한 스타일링 등 90년대 유행했던 다양한 룩과 패션 아이템들은 최근 복고 열풍을 타고 다시 유행하고 있다.

‘응답하라 1997’에서는 교복패션 외에도 10대들이 연출할 수 있었던 다양한 룩과 그 시절을 대표할 수 있는 떡볶이 코트를 비롯한 다양한 패션 아이템을 선보였다. 만약 30대라면 다가오는 겨울에 옷장 속에서 추억의 떡볶이 코트를 한번 꺼내 착용해 보면 어떨까.

끝나지 않은 우리들의 90년대


‘응답하라 1994’는 총 20부작으로 기획된 드라마이다. 절반을 향해 가고 있는 지금, 극 중 시청자에게 남겨진 가장 큰 과제는 ‘성나정’역할을 맡은 고아라의 남편이 누구인지를 찾는 것이다.

하지만 시청자의 입장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또 다른 점은 앞으로 드라마에서 보여줄 깨알같은 90년대 추억이다. 이에 앞으로 드라마가 보여 줄 다양한 90년대의 음악, 문화, 시대상, 사회적 문제들이 기대되는 바이다.

드라마는 급변하는 트렌드 속에서 최신이 최고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가끔은 과거의 향수에 빠지는 것도, 추억에 물든 그 시절이 최고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점이 대중들이 ‘응답하라’ 시리즈에 빠진 가장 큰 요소이지 않을까.
(사진출처: tvN ‘응답하라 1994’, ‘응답하라 1997’ 홈페이지)

bnt뉴스 기사제보 fashion@bntnews.co.kr

▶옷 잘입는 남자 되고 싶다면? “체크가 잘 어울려야”
▶이수혁, 알고 보니 알뜰남? 체크셔츠의 무한활용!
▶노홍철, SNS에서도 돋보이는 유니크패션 “어떻게?”
▶정려원 vs 정한비 “알프스 소녀 하이디 스타일 승자는?”
▶‘왕가네 식구들’ 이윤지, 돋보이는 러블리룩 “로맨스 시작?!”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