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의 맥] '뉴 애브노멀'의 또 다른 10년…'불확실성'의 파고 넘어라

입력 2019-11-19 17:26   수정 2019-11-22 13:30

한 달 남짓이면 또 다른 10년, 2020년대를 맞는다. ‘기대 반, 우려 반’으로 맞이했던 이전의 10년과 달리 2020년대만큼은 ‘우려’ 일색이다. 모든 예측기관도 2020년대 첫해부터 세계 경기가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한다. 두 가지 요인 때문이다. 하나는 각종 위기와 위기 극복으로 점철됐던 2010년대를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한 채 또 다른 10년을 맞이하는 데 따른 두려움이다. 다른 하나는 그 어느 10년간보다 ‘혼돈 속 대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앞날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것에 따른 우려다. 2차 세계대전 이후 1960년대까지는 미국 주도로 세계 경제가 재구축되는 시기였다.

두 차례에 걸친 대전으로 각국이 독자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경제 메커니즘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세계 경제와 국제금융질서상에 나타난 ‘빅 체인지(big change)’, 즉 대변화는 미국이 직간접적으로 주도했다. 각국의 운명도 미래 예측을 잘하는 것보다 미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잘 설정하느냐에 좌우됐다.

미국 주도의 세계 경제 재구축 작업은 1960년대 존 F 케네디 대통령, 린든 존슨 대통령으로 이어지는 민주당 집권 시기에 꽃을 피웠다. 세계 경제도 마찬가지다. 경제개발 초기 한국 경제에도 커다란 힘이 됐다. 막상 뚜껑이 열린 1970년대 하늘은 초반부터 먹구름이 끼기 시작했다.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리처드 닉슨 당시 미국 대통령의 탄핵이 불거지고, 금 태환 정지 선언으로 2차 대전 이후 굳건하게 유지됐던 달러 중심의 브레턴우즈 체제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

처음 당하는 상황이었던 만큼 선택도 잘못했다. 금 태환 정지 선언 이후 잠시 스미스소니언 과도기 체제를 거친 뒤 1976년 열린 킹스턴 회의를 계기로 각국 통화가치는 자국의 외환 수급에 의해 결정되는 자유변동환율제로 넘어갔다. 너무 빠른 자유변동환율제 이행은 각국 간 무역 불균형을 낳았고 시장에 맡기면 더 심화되는 악순환 현상이 나타났다. 당황한 각국이 자국 통화를 인위적으로 평가 절하시켜 해결하는 과정에서 환율 전쟁이 수시로 불거졌다. 두 차례 ‘오일쇼크’도 발생했다.


래퍼곡선과 공급 중시 경제학 탄생

두 가지 잘못된 선택에 따른 대가는 혹독했다. 오일쇼크의 파장이 먼저 닥쳤다. 1970년대 말 2차 오일쇼크로 국제 유가가 급등하자 1980년대 들어 각국 경기는 성장률이 떨어지는 가운데 물가가 올라가는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사상 초유의 현상을 맞았다. 당시까지 만병통치약이라 불렸던 경기 처방전인 케인지언의 총수요 대책으로는 풀 수 없는 난제였다.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총수요를 진작시키면 물가가 더 올라가고 물가를 잡기 위해 총수요를 줄이면 경기침체의 골이 더 깊어졌다.

발상의 전환이 절실한 때 의외의 곳에서 대안이 제시됐다. 미국 뉴욕의 한 허름한 레스토랑 냅킨에 엉성하게 그려진 ‘래퍼 곡선(Laffer curve)’이다. 레이거노믹스(로널드 레이건 정부의 경제정책)의 이론적 근거이자 ‘공급 중시 경제학’을 태동시킨 래퍼 곡선의 스태그플레이션 처방은 의외로 간단했다. 1980년대 초반 미국처럼 세율과 세수 간 반비례 관계인 비표준 지대(abnormal zone)에 놓인 상황에서는 감세를 통해 경제 주체의 의욕을 고취시켜주면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을 동시에 잡으면서 세수까지 늘릴 수 있다는 것이 골자였다.

자유변동환율제 이행 이후 심해지는 각국 간 무역 불균형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었던 서방 선진 5개국(G5) 재무장관이 긴급히 모인 곳은 뉴욕의 작은 호텔 ‘플라자’였다. 최대 골칫거리였던 미국과 일본 간 무역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해 엔화 강세를 인위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플라자 체제’를 태동시켰다. 효과도 컸다. 플라자 체제가 유지됐던 10년 동안 엔·달러 환율은 달러당 260엔대에서 79엔대로 급락했다. 일본은 급작스런 엔고의 충격을 견디지 못하고 1990년대에 ‘잃어버린 20년’이라는 깊은 수렁에 빠졌다.

1990년대는 격변의 10년이었다. 냉전의 상징이었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자 사회주의 국가가 마치 입을 맞춘 듯 빗장을 열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 옛 소련 대통령은 ‘글라스노스트(개방)’ 정책을 천명했다. 맹주의 지침에 따라 다른 사회주의 국가도 속속 개방 정책에 동승했다. 개방화가 더딘 민주주의 국가는 속도를 더 냈다. 지구라는 하나의 시장을 놓고 경쟁하는 국가가 많아지고 점차 승자와 패자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로부터 30년이 지난 2020년대를 앞두고 ‘미국과 중국 간 경제 패권 다툼’이라는 또 다른 냉전 시대를 맞고 있다.

훈련이 안 된 국가가 빗장을 열면 고도의 금융기법으로 무장한 헤지펀드의 먹잇감이 된다. 1990년대에 들어서자마자 조지 소로스의 영국 파운드화 공격으로 시작된 유럽 통화위기는 1994년 중남미 외채위기, 1997년 아시아 통화위기, 1998년 러시아 모라토리엄(국가채무 불이행)으로 이어졌다. 개방론자의 주장에 밀려 1996년 12월 성급하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했던 한국도 이듬해 외환위기가 발생해 국제통화기금(IMF)의 ‘경제신탁통치’를 겪어야 했다.

경제패권 놓고 미·중 간 新냉전

미국 경제는 축복의 10년이었다. 실물경기는 수확체증의 법칙이 적용되는 인터넷 등 정보기술(IT) 업종이 주도하면서 ‘신경제(New Economy)’ 신화를 낳았다. 높은 성장에도 물가가 오르지 않는 이상적인 ‘골디락스(goldilocks)’ 국면이었다. 금융시장도 미국과 다른 국가 간 금리차가 벌어지는 ‘대발산’과 강한 달러를 지향하는 ‘루빈 독트린’ 덕분에 유럽 중남미 아시아 러시아 등 위기 국가로부터 자금이 유입돼 거품이 우려될 정도의 호황을 맞았다.

대재앙이 될 것이라는 ‘Y2K’ 문제를 무사히 넘긴 뉴 밀레니엄 시대 첫 10년은 미국의 위기로 점철된 ‘승자의 저주’ 시기였다. 2001년 발생한 9·11 테러 사태를 계기로 언제 터질지 몰랐던 IT 버블이 신기루처럼 사라졌다. 남아 있는 버블은 한때 ‘세계 경제 대통령’으로 칭송받았던 앨런 그린스펀 당시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해결해줄 것으로 기대했지만,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 대출), 2009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낙인(烙印)을 남기며 2000년대가 마무리됐다.

기존 이론·규범 통하지 않는 시대

2010년대는 금융위기 뒤처리로 숨 가쁘게 지나간 10년이었다. 2차 대전 이후 세계 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을 주도했던 미국에서 금융위기가 발생함에 따라 후유증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컸다. 뒤처리도 전례 없는 사상 초유의 일이라 우여곡절을 많이 겪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유럽 재정위기 등 크고 작은 위기가 뒤따랐다. 마이너스 금리와 양적완화 등으로 과다 부채, 자산 거품 등 출구전략 과제도 남겼다. 미국이란 중심국과 기축통화국의 위상이 얼마나 큰지 깨닫는 계기가 됐다.

또 다른 10년, 2020년대를 맞게 된다. 기존 이론과 규범 그리고 관행이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것이다. 새로운 이론과 규범도 정립되지 않았다. 긍(肯·긍정)과 부(否·부정), 부(浮·부상)와 침(沈·침체)이 겹치면서 앞날을 내다보기는 더 힘들다. 뉴 애브노멀(New Abnormal) 시대다. 10년 뒤 세계 경제와 국제금융시장 그리고 한국 경제는 어떤 모습으로 정리할 수 있을까.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