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하루 1000만개 공급한다는데…왜 마스크는 품절일까

입력 2020-02-02 13:41   수정 2020-02-02 14:54


정부가 국내 마스크 공급 부족 사태와 관련해 수급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지만 사태가 장기화되는 모양새다.

2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여전히 대부분 마스크들이 품귀 현상을 빚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요 온라인쇼핑몰의 마스크들은 대부분 ‘품절’상태로 표시돼 있고, 그나마 주문이 가능한 마스크들도 대부분 배송 시일이 경과했는데도 배송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거나 주문이 취소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그야말로 ‘마스크 대란’이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정부는 마스크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제조업체와 비상대응 체계를 구축, 하루 1000만개를 생산할 방침”이라며 제조사들의 수급 상황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니터링 하겠다고 밝혔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처, 공정거래위원회, 국세청, 각 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범정부 단속반을 편성해 불공정 거래 행위를 단속하고, 적발된 경우 2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엄중 처벌할 계획”이라고도 전했다.

그러나 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은 여전히 마스크 구하기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토로한다.

한 네티즌은 “정부 방침은 지극히 탁상행정으로 보인다”며 “마스크를 하루 천만개씩 생산해도 인구 대비 부족해 보이고, 중국으로 보따리상이 가져가는걸 감안해 보면 정부측 설명은 면피성 답변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실제로 업계에서는 국내 마스크 공급량이 턱없이 부족한 이유로 중국 보따리상들의 사재기를 꼽았다. 일명 ‘따이공(중국인 보따리상)’들이 마스크 제조 공장을 돌아다니며 웃돈을 주고 마스크를 사재기해 중국으로 보내고 있다는 것.

중국에서도 마스크 품절 현장이 빚어지는 가운데 중국인들이 품질이 우수한 한국산 마스크를 선호하면서 안그래도 부족한 국내 마스크 물량이 대거 중국으로 넘어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 업계관계자는 “일부 업체에서는 기존 국내 업체와의 공급계약을 깨고 웃돈을 주는 중국 업체에게 물량을 넘기는 사례도 있을 정도”라고 귀띔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hr style="display:block !important; margin:25px 0; border:1px solid #c3c3c3" />
'우한 폐렴' 생활감염 예방법

KF80 이상 마스크 쓰고…꼼꼼히 손 씻어 '간접 접촉 전파' 막아야

기침할 때 옷소매로 코·입 가리고
불필요한 병원 방문 최대한 자제
감염 의심되면 1339로 신고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2차, 3차 감염 환자가 잇따라 나오면서 철저한 감염 예방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터넷 등에 떠도는 잘못된 정보는 걸러내고 과학에 근거한 예방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공장소에서는 기침예절을 잘 지켜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기침할 때 휴지나 손수건보다는 옷소매로 코와 입을 가리는 것을 권고한다. 질본 관계자는 “휴지나 손수건은 잘 쓰지 않으면 침방울이 샐 수 있고 평소 휴대하지 않는 사람도 많다”며 “가장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옷소매로 가리는 것”이라고 했다.

입에서 침방울이 분출되는 것을 막는 게 기침예절의 핵심이다. 기침을 하면 반경 2m까지 작은 침방울이 확산돼 바이러스가 퍼질 수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환자가 재채기를 하면 바이러스가 있는 침방울이 눈, 코, 입, 피부에 묻을 수 있다”며 “바이러스가 눈, 코, 입의 점막에 붙으면 감염이 시작된다”고 했다.

손씻기는 간접 접촉 전파를 막는 데 필수다. 바이러스가 사람에서 사람으로 바로 옮겨가지 않고 중간에 사물을 거쳐 전파되는 것을 간접 접촉 전파라고 한다. 김 교수는 “손잡이, 의자, 컴퓨터 등 주변 사물에 바이러스로 오염된 침방울이 묻어 있을 수 있다”며 “침방울이 묻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면 감염되는 것”이라고 했다.

흐르는 물에 손을 적시고 비누로 30초 이상 손바닥, 손등, 손톱 밑, 손가락 사이를 비비며 씻어야 한다. 물로 씻기 어려울 때는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알코올 세정제를 들고 다니며 손을 소독해야 한다. 장갑을 착용해 손을 보호하는 것도 방법이다. 가능하면 손으로 눈, 코, 입 등을 만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외출할 때 마스크를 착용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는데 마스크를 올바로 착용해야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면으로 된 마스크보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인증한 보건용 마스크를 쓰는 게 좋다. 전문가들은 0.6마이크로미터(㎛·1㎛=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입자를 80% 이상 차단하는 KF80 마스크면 충분하다고 설명한다.

김 교수는 “KF94, KF99 등은 KF80보다 더 작은 미세입자를 잘 차단하지만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숨이 차기 때문에 현실적인 방법은 아니다”고 말했다. 자기 얼굴 크기에 맞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콧대 부분을 잘 조정해 얼굴과 마스크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외출 시 착용했다가 실내에 들어와 벗었다면 재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타인과 대화하다가 상대방이나 자신의 침이 마스크에 많이 튀었다면 새것으로 교체한다.

물을 자주 마시면 감염병 예방이 도움이 된다. 호흡기 점막이 건조해지면 바이러스가 더 쉽게 침투할 수 있다. 병문안 등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최대한 자제하고 확진 환자가 다녀간 곳으로 보도된 장소를 다녀온 뒤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질본 콜센터(1339)나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