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전체 수입품목 90%는 중국에 의존

입력 2020-02-13 09:24   수정 2020-02-13 10:0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장기화 시, 일본 수출규제 보다 훨씬 더 큰 전방위적 악영향 예상
철강, 철강제품, 수산물 등 수입비중이 높은 품목 관련 산업 대비 필요



부산 전체 수입품목의 90%가 중국에 의존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지속되면 전방위적인 타격을 부산경제에 줄 것으로 전망됐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허용도)는 1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부산지역 대중국 품목별 수입 의존도 분석’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발표했다.이번 자료는 2019년 부산의 품목별 중국 수입액을 HSK코드 2단위와 4단위를 기준으로 분석했다.

자료에 따르면 부산의 전체 수입품목 1189종(HSK 4단위) 중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품목은 총 1055종으로 전체 수입품목의 88.7%에 이르렀다.이중 대중국 수입의존도가 50% 이상인 고의존도 품목도 390종으로 전체 중국 수입품목의 37%였다.이들 품목의 수입금액은 이보다 더 높은 48.3%다. 390종 중 128종은 중국에 90% 이상 의존하고 있었고 이중 52종은 100% 중국에서 수입했다.

2019년 부산의 국가별 전체 수입액(137억 9810만달러)에서도 대중국 수입액은 39억 405만 달러로 중국은 부산의 수입 1위 국가다. 중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되거나 장기화돼 중국으로부터의 원부자재를 포함한 수입품목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면 지역경제에 미칠 파장이 크게 우려된다고 상의는 밝혔다.

일본의 수출규제로 인한 영향과 비교해서도 중국의 이번 사태는 훨씬 더 전방위적인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됐다.부산의 전체 수입품목 중 일본 의존도가 50% 이상인 품목은 90종에 불과했지만 중국은 390종에 이르러 일본과 비교해 4배 이상 많고 수입 금액도 2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일본의 수출규제는 제한된 품목에서만 이루어져 지역경제에 미친 실질적인 영향은 거의 없었지만,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영향은 지역 산업 전반에 걸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수입 상위 20개 품목 중 50% 이상의 고의존도 품목은 철강과 철강제품, 유기화학품 등 7개 품목이었다. 가장 의존도가 높은 품목은 식용 채소로 부산 전체 수입의 81%가 중국에서 들어오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중국 수입 1위와 2위에 해당하는 철강과 철강제품의 의존도 역시 각각 37.4%, 50.2%로 높게 나타났다. 이들 철강재들은 지역 주력산업과의 연관성이 높아 관련기업들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해 보인다. 수입 금액은 적지만 납과 납제품은 100% 중국에서 들어오고 있고, 가발, 조화, 방직섬유 등도 80%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중국은 전세계와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고 부산도 예외가 아닌 만큼,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지역 관련 산업과 기업들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소비시장은 물론 제조업 등 지역 산업 전반에 걸쳐 기업의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신속한 실질적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