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칼럼] '위기=위험+기회'

입력 2020-03-22 18:48   수정 2020-03-23 00:16

미국의 역대 대통령 중 존 F 케네디만큼 큰 위기가 잦았던 경우도 드물다. 짧은 재임기간(1961년 1월~1963년 11월)에도 취임 두 달 만에 쿠바 공산정권을 전복시키려던 피그만 침공작전 실패로 곤경에 처했고, 소련의 위협으로 베를린 위기가 벌어졌으며, 미국의 턱밑인 쿠바에 소련 핵미사일을 배치하려던 쿠바 사태까지 위기의 연속이었다.

그럴 때마다 40대의 젊은 케네디는 “위기(crisis)를 한자로 적으면 두 글자다. 하나는 위험(危)이고 다른 하나는 기회(機)”라고 호소해 공포에 떠는 국민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던졌다.

윈스턴 처칠은 “낙관주의자는 위기 속에서 기회를 보고, 비관주의자는 기회 속에서 위기를 본다”고 했다. 이런 명언들 덕에 누구나 ‘위기가 곧 기회’인 줄은 안다. 그러나 막상 닥치면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게 결코 말처럼 쉽지 않다. 새옹지마를 떠올리고 ‘이 또한 지나가리라’를 되뇌어도 위험만 산더미처럼 느껴진다. 위기가 수그러들어야 비로소 변화(change)한 만큼 기회(chance)가 생기지만 그것도 준비된 사람에게만 보인다.

최근 국내 증시 폭락장에서 ‘동학개미운동’이 뜨겁다. 20~30대를 중심으로 외국인 매도에 맞서 주식을 사자는 움직임이다. 이달 들어 외국인이 9조5105억원을 순매도할 동안 개인은 8조6277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이 중 절반 이상이 삼성전자다. 주식 활동 계좌수도 33만 개 늘어 전년 동기 대비 10배 가까이 증가했다.

2030의 시각에서 보면 ‘시간은 우리 편’이라는 시간 선호와 리스크를 감수하는 위험 선호를 이해 못할 바도 아니다. 앞으로 살 날이 많고 길게 보면 주가는 우상향해왔다. 과거 위기 때마다 삼성전자 같은 우량주가 폭락 후 급반등한 학습효과도 있다. ‘묻지마 투자’가 아니라 주가 하락 시 수익이 나는 인버스펀드로 위험을 분산할 줄도 안다. 반면에 은퇴가 다가오는 40~50대는 선뜻 들어가길 꺼린다. 아직은 위기의 끝을 알 수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코로나 사태는 ‘위기=위험+기회’라는 등식으로 끝이 아니다. ‘공포와 담력’을 더하고 경제위기의 확률을 곱해야 한다. 경제위기까지 치닫지 않는다면 다행이지만 그 확률이 높아진다면 후유증도 우려된다. 동학개미운동이 민첩한 기회 포착인지, 성급한 위험 투자인지는 두고 봐야 알 것이다.

오형규 논설위원 ohk@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