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조 기업을 314조로…'초일류' 향해 끝없이 도전했다 [이건희 회장 별세]

입력 2020-10-25 10:14   수정 2020-10-25 10:29


‘17조4000억원→314조원.’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첫 취임한 1987년에서 2019년까지 삼성 그룹의 매출 변화다. 32년간 약 18배 성장했다. 1987년 세계 무대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삼성은 이젠 ‘글로벌 일류기업’이 됐다.

이 기간 삼성은 스마트폰, TV, 모니터, D램, 낸드플래시 등 수 많은 세계 1등 품목을 만들어냈다. 10만명 남짓하던 임직원 수는 40만명이 넘었다. 한국은 물론 세계적으로도 흔치 않은 성과다.

이 회장의 삼성 경영 26년은 끊임없는 위기의식 속에서의 변신으로 요약된다. 어느 정도 성장을 이뤄도 결코 만족함 없이 ‘초일류’를 지향한 것이 오늘날의 삼성을 만들었다는 분석이다. 송재용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이 회장의 경영 일대기를 크게 네 단계로 요약했다.
○‘초일류’를 향한 끊임없는 도전
1단계는 회장에 취임한 1988년부터 1993년까지다. 재계에선 당시 45세에 불과한 이 회장이 창업주인 선친 이병철 명예회장의 그늘에서 한동안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이 회장은 “세기말적 변화가 온다. 초일류가 아니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당시로선 파격적인 개념을 내세우며 ‘제2의 창업’을 선포한다. 이 회장은 1983년 자신의 사재를 털어 시작한 메모리 반도체 사업을 1993년 세계 1위(D램 부문)로 올려놓으며 경영능력을 인정받는다.

세간에서는 삼성의 성공을 주목했지만, 이 회장은 오히려 당시를 절체절명의 위기로 정의했다. ‘많이 팔아 돈만 벌면 그만’이라는 사고방식이 바뀌지 않은 상태에서 세계 1위 달성은 의미가 없다고 봤기 때문이다. 이때 나온 것이 199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의 ‘신경영’ 선포다. 송 교수는 이때부터 5년을 2단계로 정의했다. 세계 곳곳에서 350여시간 동안 이어진 ‘절규’에 가까운 연설을 통해 이 회장은 “양이 아닌 질(質) 경영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임직원에게 전파했다. 그리고 7·4제(7시 출근 4시 퇴근), 라인스톱제(불량이 발생하면 전 라인을 멈추고 원인을 파악함) 등 파격적 제도를 도입해 삼성의 수준을 한 단계 도약시켰다. 그룹 내 부실도 과감히 도려낸다.

세 번째 단계는 한국이 국제통화기금(IMF) 체제에 들어간 1997년부터 5년간이다. 국가는 위기에 빠졌지만 선제적으로 삼성의 위기 요인을 제거한 이 회장의 경영 혜안은 더욱 주목받았다. 삼성은 당시 ‘파격적이고 성역없는 구조조정’을 내세우며 59개 계열사를 40개로 줄이는 등 조직 재정비를 단행했다.

마지막은 2003년 이후 현재다. 이 회장은 융합, 디지털, 소프트라는 개념을 경영에 적극 도입한다. 2005년 ‘밀라노 선언’을 통해 ‘디자인 삼성’의 기치를 들었다. 브랜드 가치에 대한 투자도 대대적으로 단행한다. 2008년 ‘삼성 특검’으로 경영일선에서 잠시 물러나기도 했지만 2010년 복귀 이후 다시 한번 삼성에 ‘위기론’을 불어넣으며 갤럭시S 시리즈와 같은 공전의 히트작을 만들어냈다.
○사회 공헌 문화도 선도
이 회장의 이상(理想)은 기업을 키우는 데 그치지 않았다. 그는 “본인의 노력과는 상관없는 것으로 사람이 차별받아선 안된다”고 늘 강조했다. 세간의 인식과는 달리 삼성의 사회공헌은 질과 양에서 다른 기업을 압도한다.

대표적인 예가 어린이집이다. 삼성은 재계에선 최초로 1989년 당시 ‘달동네’였던 송파구 마천동에 ‘천마 어린이집’을 세웠다. “여성이 육아에 묶여 일하지 못하는 건 국가 경제가 한 발로 뛰는 것과 같다”는 판단에서다. 그렇게 삼성이 세운 어린이집이 전국에 57개소다. 이에 그치지 않고 1994년엔 역시 재계 최초로 ‘사회봉사단’을 설립, 초등학생의 공부방도 열어줬다. 2011년엔 ‘드림클래스’를 통해 중학생에게까지 무료 교육의 폭을 넓혔다.

삼성의료원도 사회공헌 차원에서 의욕적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이 회장은 “낙후된 병원이 환자 입장에서 얼마나 큰 고통인지 알면서 그대로 두는 것은 기업 총수로서 할 일이 못 된다”고 말했다. 그렇게 ‘제대로 된 병원’을 기치로 세계 40개국의 일류병원을 벤치마킹해 만든 삼성의료원은 현재 명실상부한 국내 1위 종합병원이 됐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이 회장의 사회적 업적이다. 그는 2009년부터 무려 170일에 걸친 해외 출장에서 100여명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들을 만난 끝에 유치를 일궈냈다. 2011년 7월7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자크 로케 IOC 위원장이 최종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평창’을 외칠 때 조용히 눈물 흘리던 이 회장의 모습은 많은 이들의 머리 속에 각인돼 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