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안 끝났는데…잘나가던 '넷플릭스' 주가 흔들린 이유

입력 2021-04-23 14:31   수정 2021-04-23 15:12

코로나19 수혜에 지속성장 기대를 받으며 선전했던 소위 '집콕주'들이 부진한 주가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미국 뿐 아니라 전세계 경제 활동이 재개되면서 이들 종목의 전년 대비 성장률이 둔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집콕주에 대한 개별 대응 전략을 다시 짤 때라고 조언하고 있다.
◆집콕주 줄줄이 '흔들'
22일(현지시간) 넷플릭스는 0.02% 떨어진 508.7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넷플릭스는 1분기 실적 발표가 있던 전날 7.40% 급락했다. 올 들어 주가는 500달러 초반대 박스권에 갇혀있다.

넷플릭스는 1분기에 구독자 수가 시장 기대에 못미쳤다. 1분기 구독자수 순증가 수가 398만명으로 예상치(600만명)에 크게 못 미쳤다. 전체 유료 구독자수도 2억763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6% 늘어나는 데 그쳤다. 넷플릭스 유료 구독자수는 지난해 내내 20% 넘는 성장률을 보여왔다.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실적 발표 후 주가에 반영됐단 의미다.

넷플릭스는 코로나19로 인한 '집콕주'의 대표격이다. 다른 '집콕주'들도 넷플릭스와 마찬가지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화상회의 플랫폼인 '줌'도 마찬가지 이유로 흔들리고 있다. 지난 2월 중순만 하더라도 440달러대까지 올랐던 줌 주가는 최근 320달러대로 내려앉았다. 데이터베이스 관리기업으로 코로나19 수혜를 받았던 몽고DB도 올 들어 주가가 14.58% 빠졌다.

홈트레이닝 관련주로 뜨거웠던 펠로톤은 악재 출현으로 주가 하락폭이 커졌다. 미국 소비자 제품안전위원회에서 아이들의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펠로톤 러닝머신을 사용하지 말라고 했기 때문이다. 주가는 이미 지난 2월초부터 꾸준히 하락세였다. 악재까지 겹치며 이달 하락폭만 10% 가까이 됐다.
◆종목별 대응전략은
'집콕주'에 대해서는 종목별로 의견이 천차만별이다. 집콕'을 하지 않더라도 수요가 꾸준히 늘어난다는 이유로 저가매수 기회라는 평가를 받는 종목이 있는 반면, 성장 둔화세가 고착화할 것으로 전망되는 종목도 있다. 국내 투자자들로서는 종목별 대응 전략을 달리해야 하는 이유다.

넷플릭스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긍정론자들은 하반기로 갈수록 신작 출시 등에 따른 주가 상승 기회가 있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2분기 가입자 순증 전망치를 100만명으로 제시했는데 지나치게 보수적이라는 시각이다. 넷플릭스측도 "하반기 인기작품이 공개되면서 다시 고성장세에 접어들 것"이라며 자신감을 나타내고 있다.

부정론자들은 넷플릭스의 지배적 위치가 흔들린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시장분석기업 모펫네이던슨(Moffettnathanson)의 마이클 나단슨(Michael Nathanson) 애널리스트는 "이번 주가 급락으로 스트리밍 사업에 대한 전반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넷플릭스라 할지라도 새로운 콘텐츠가 가입자 수를 늘리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모건스탠리와 맥쿼리는 1분기 실적 발표 후 넷플릭스에 대한 목표주가를 각각 기존 700달러, 600달러에서 650달러, 525달러로 내려잡았다.

줌에 대해서는 저가매수를 할 때라는 분석이 많다. 최근 주가는 하락했지만 재택근무 자체는 코로나19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최근 줌에 대해 "백신 보급으로 코로나19가 종식되더라도 재택근무 열풍의 승자인 줌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며 목표주가로 480달러를 제시했다. 현 주가보다 50% 가까이 오를 수 있단 얘기다.

홈트레이닝 업체인 펠로톤은 안전 문제가 제기되면서 당분간 주가 부진에서 벗어나기 쉽지 않아보인다. 불확실성이 해소될때까지는 당분간 관망할 것을 전문가들이 조언하는 이유다.

집콕주 가운데서도 쇼핑주는 지속적인 성장 기대를 받고 있다. 아마존 주가는 금리 급등세가 둔화하자마자 4월 들어 6.94% 올랐다. 1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호실적 기대도 커진 상태다. JP모간은 최근 아마존 목표주가를 4400달러로 제시했다. 30% 이상 상승 여력이 있단 분석이다. 더그 안무스(Doug Anmuth) JP모간 애널리스트는 "주요 대형주 가운데 톱픽"이라며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전자상거래 시장이 커지면서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가 커졌다"고 분석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