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자로 두번 접히는 태블릿, 게임할 땐 곡선 변신…TV 디스플레이 '트랜스포머'

입력 2021-08-24 17:23   수정 2021-08-25 01:08


접고, 휘고, 구부리고…. 디스플레이의 혁신이 이어지고 있다. 스마트폰뿐 아니라 TV, 노트북, 모니터 등에도 폴더블, 벤더블 디스플레이의 적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25~27일 열리는 ‘2021년 한국디스플레이 산업전시회(IMID 2021)’에 참가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선 스마트폰을 넘어 노트북 TV 등에도 사용되는 다양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이 공개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S’자 형태로 두 번 접는 ‘플렉스 인앤아웃’ 폴더블 제품을 전시한다. 한 번 접을 때보다 휴대성은 좋아지고 더 큰 화면으로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어 향후 스마트폰뿐 아니라 태블릿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노트북에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상황에 따라 모니터와 같은 대화면으로 펼칠 수 있는 ‘플렉스 노트’ 제품도 선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갤럭시Z폴드3’에 탑재된 저전력 디스플레이 ‘에코스퀘어 OLED’도 소개할 예정이다. 편광판 대신 패널 적층 구조를 바꿔 외광 반사를 막고 빛 투과율을 높인 기술로, 패널 소비전력을 25%까지 줄였다.

LG디스플레이는 전시장에 홈과 오토존을 꾸렸다. 이곳에 시네마틱 사운드 OLED(CSO)부터 구부러지는 OLED, 투명 OLED 등 생활 맞춤형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공개한다.

홈존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직접 소리를 내는 88인치 8K CSO 패널로 홈 시네마 환경을 구현했다. 55인치 투명 OLED 패널과 침대가 결합한 스마트 베드도 볼 수 있다.


또 별도 게임존을 만들어 △48인치 벤더블 CSO 패널 △34인치 커브드 144㎐ 게이밍 모니터 패널 등 고성능 게이밍 전용 제품을 선보인다. 48인치 벤더블 CSO 패널은 TV를 시청할 땐 평면으로, 게임할 땐 곡선형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는 벤더블 기술이 적용됐다.

오토존에서는 4개 패널을 하나로 연결해 제작한 초대형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 차량용 플라스틱 올레드(P-OLED)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수빈 기자 lsb@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