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고구려·신라·백제에 가야·부여 더한 5국시대로 봐야, 900년 가까이 존속한 부여…많은 국가들이 계승해

입력 2021-11-01 09:01  


우리는 고대를 ‘삼국 시대’라고 부른다. 하지만 가야를 포함하면 ‘사국 시대’고, 거기에 부여까지 더하면 ‘오국 시대’가 된다. ‘부여’는 한국 고대사에서 아주 특별한 위치와 성격을 지니는 나라다. 원조선을 빼놓고는 가장 먼저 국가로 등장했고, 무려 900년 가까이 존속했다.
부여를 계승한 나라들
우선 부여를 표방하거나 계승한 나라들을 살펴보자. 첫째, ‘북부여’다. 414년 세워진 광개토태왕비의 첫머리에는 추모(주몽)가 북부여 천제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물신인 하백의 따님이라고 새겼다. 또 직전에 만들어진 모두루총의 묘지석에는 추모성왕이 원래 북부여에서 나왔다고 썼으며, 그 밖에 여러 기록이 해모수를 북부여 천제라고 했다.

둘째, ‘제1 동부여’다. 부여의 왕 해부루는 동쪽으로 이전하고 국명을 동부여라고 변경했다. 아들 금와왕은 해모수의 부인인 유화부인을 궁으로 데려왔고, 알에서 태어난 주몽은 성장하면서 대소 등 왕자들과 갈등을 일으켜 탈출했다. (동)부여는 285년 선비족에 수도가 점령되면서 왕은 자살하고, 백성 1만여 명이 포로로 잡혀갔다. 이어 광개토태왕의 공격으로 병합됐다가 494년 문자왕에게 항복했다.

셋째, ‘홀본부여’다. 《삼국사기》에는 ‘졸본(卒本)’으로 표기했지만, 광개토태왕 비문에 새겨졌듯이 ‘홀본(忽本)’이 정확하다. ‘홀’은 ‘골’ ‘마을’ ‘나라’를 뜻하는 부여계 말이다. 그러므로 홀본은 ‘홀’의 근본, 즉 원(原)부여일 가능성이 크다. 주몽은 소서노 등 연씨 세력이 장악한 홀본부여를 토대로 고구려를 건국했으므로, 《위서》 등에는 ‘고구려는 부여에서 나왔다’고 기록됐다. 2대 유리왕부터 5대 모본왕까지는 왕의 성이 부여계인 ‘해모수’ ‘해부루’와 동일하게 ‘해(解)’씨였는데, 해는 ‘태양’을 의미한다.

넷째, ‘갈사부여’다. 부여는 왕위에 오른 대소가 주몽에게 패배하면서 위기에 직면했고, 왕자들의 탈출이 이어졌다. 동생 하나가 압록강 줄기인 갈사수가에 갈사부여를 잠시 동안 세웠으나 이내 고구려에 합병됐다.

다섯째, ‘제2 동부여’다. 부여가 285년 선비족에 수도가 점령됐을 때, 왕족 등과 주민들은 두만강 하구와 연해주 일대인 북옥저 땅으로 피난 갔다. 그런데 일부는 환국하지 않은 채 정착해 ‘동부여’라는 이름으로 존속했는데, 410년에 이르러 광개토태왕에게 정복당했다.

여섯째, ‘남부여’다. 백제는 홀본부여에서 내려온 소서노와 비류·온조 집단이 한강 하구에 세운 나라다. 처음부터 동명사당을 세우는 등 부여정통론을 표방했으며 개로왕은 북위에 보낸 국서에 백제가 고구려와 함께 부여에서 나왔다(出)고 했다. 538년 성왕은 백제의 중흥을 목표로 수도를 부여로 옮기면서 국호를 ‘남부여’라고 개명했다.

일곱째, 가설이지만 ‘왜부여’도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부여계의 기마집단이 남진해 일본 고대국가의 중핵을 이뤘다는 주장도 있다.(존 코벨, 《부여기마족과 왜》)
부여의 문화와 자연환경
부여는 위만조선 시대에 건국한 것은 분명하다. 부여라는 국명은 《사기》의 식화열전에 처음 나온다. 또 탁리국의 시녀가 낳은 아이인 ‘동명’이 부여 땅으로 이동해 부여국을 세웠다는 기록도 있다. 《삼국지》에는 부여인들이 스스로 유이민 집단이라고 말한 사실을 기록했다. 그런데 《위서》 실위전과 《신당서》 유귀전의 기록을 종합하면 북부여의 후예인 두막루와 실위, 거란, 거란계인 고막해는 말이 같다. 부여와 고구려, 백제는 말이 통하고 동예는 부여의 별종이므로 언어가 통한다고 했다.

《삼국지》 등에는 부여가 3세기 무렵 만리장성의 북쪽에 있고, 남쪽으로 고구려, 동쪽으로 읍루, 서쪽으로는 선비와 접하고, 북쪽에는 약수가 있는데, 사방 2000리에 달하는 큰 나라였다고 기록됐다. 길림지역은 남만주의 산악지대로 들어가는 입구여서 농토가 부족하고, 유물 등에서 확인되듯 강어업이 발달했다. 반면에 눈강과 송화강의 합류 지점은 넓은 송눈평원이 있어 사료의 내용처럼 토지가 넓고 비옥해 오곡을 생산하는 데 적합하고, 목축할 수 있는 초원이 발달해 소를 잘 사육하고 명마가 나온다는 기록에도 어울린다. 또한 송화강과 눈강 등 긴 강과 큰 호수 덕에 어업도 발달했다. 특히 동쪽은 읍루와 물길계가 거주하는 숲지대로 이어져 질 좋은 목재와 약재, 산삼 등 작물이 산출됐고, 호피, 표피, 웅피, 담비가죽 등을 취급하는 모피산업이 발달했다. 그렇다면 대안(大安)과 농안(農安) 일대가 부여국의 중심지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고구려 때는 부여성이었고, 발해의 부여부가 설치됐다. 그런데 부여는 특이하게 마의하·훈춘·영고탑 등에서 많은 황금을 생산했다.
부여의 멸망과 두막루국
이렇게 풍요로운 환경 탓인지 외부로부터 잦은 공격을 당하던 부여는 고구려에 복속돼 관리를 받다가 494년 나라를 들어 항복했다. 망국을 예감하고 떠난 일부 주민은 두막루국을 세워 부여의 풍습과 성품을 잘 보존했는데, 동쪽 끝이 바다와 닿았고, 사방 2000리였다고 한다. 고구려말인 ‘다물(多勿)’ 즉 ‘복구토(復舊土)’라는 의미를 지닌 두막루국도 결국 300여 년 만에 같은 계통인 발해에 합병당하면서 역사에서 사라졌다. (유태용, 《두막루국 흥망사 연구 시론》)

부여인은 농사를 짓고, 흰색을 숭상해 흰옷을 즐겨 입었던 평화로운 사람들이었다. 반면 가장 먼저 북방 기마문화가 발달했다. 사냥철이 시작되는 음력 12월 영고(迎鼓)라는 축제를 벌였고,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를 취하는 등 유목민의 풍습을 유지했다. 이런 문화와 기술력 등은 고구려와 백제, 신라, 가야에 강한 영향을 끼쳤고 일본 열도로 진출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리고 훗날 만주에서 나라를 되찾는 독립군들은 ‘다물단’을 만들었다.
√ 기억해주세요
우리는 고대를 ‘삼국 시대’라고 부른다. 하지만 가야와 부여를 포함하면 ‘오국 시대’가 된다. ‘부여’는 한국 고대사에서 원조선을 빼놓고는 가장 먼저 국가로 등장했고, 무려 900년 가까이 존속했다. 《삼국지》 등에는 부여가 3세기 무렵 만리장성의 북쪽에 있고, 남쪽으로 고구려, 동쪽으로 읍루, 서쪽으로는 선비와 접하고, 북쪽에는 약수가 있는데, 사방 2000리에 달하는 큰 나라였다고 기록됐다. 풍요로운 환경 탓인지 외부로부터 잦은 공격을 당하던 부여는 고구려에 복속돼 관리를 받다가 494년 나라를 들어 항복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