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사태發 인플레 쇼크…전세계로 스태그플레이션 번질 수도"

입력 2022-04-03 17:51   수정 2022-04-04 01:18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경기가 후퇴하는 가운데 물가만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수 있습니다.”

국제 금융의 대가로 꼽히는 배리 아이컨그린 미국 UC버클리 경제학과 교수가 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던진 경고다. 그는 “유럽은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 기후위기에 대응하고자 원자력 발전을 줄여 왔지만, 이 과정에서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가 높아졌다”며 “에너지 가격이 급격히 오르면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성장 둔화 및 물가 상승을 동시에 겪을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아이컨그린 교수는 저소득 국가가 맞닥뜨릴 경제적 타격에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저소득 국가들이 금리 상승과 에너지 가격 폭등, 식료품 등 물가 상승,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악화 등의 ‘4중고’를 겪게 될 것”이라며 “만약 미국이 중국 제재까지 본격화하면 한국 등 각국은 미·중 경제블록 중 양자택일을 해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기축통화인 달러화의 지위는 지속적으로 약해질 것”이라는 전망도 보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국제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봅니까.

“세계 경제는 이미 심각한 경제 침체 리스크를 안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 경제가 타격을 입을 것입니다.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이 다소 늦었고, 인상폭도 너무 작았습니다. 물가 상승이 진행되는 가운데 경제 성장이 둔화하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분명 존재합니다. 유럽 각국과 유럽중앙은행(ECB)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대응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여지가 있지만, 침체가 일어날 가능성은 상당히 높습니다.”

▷러시아가 세계 경제에서 단절되면서 일어날 변화도 클 것 같습니다.

“다른 나라들과 교류가 끊어진 러시아는 연 20~40% 수준의 물가 상승에 직면할 것입니다. 상당히 긴 침체를 겪는 셈이죠. 비행기나 자동차를 만들고 유지·보수하기 위한 부품을 구하는 일마저도 어려워질 테니까요. 다른 국가도 마찬가지입니다. 세계는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 상승으로 인한 후폭풍을 겪게 될 것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어떤 변화를 예상합니까.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나타난 공급망 재편 흐름이 한층 가속화할 것입니다. 중국이 코로나19에 강력하게 대응하면서 공장들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았죠. 그 결과 중국산 부품 등의 공급난이 심화됐습니다. 주요 부품을 해외에서 구하는 게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을 모두 깨닫게 됐죠. 자국 생산 혹은 지역 내 생산을 늘리려는 분위기가 강해졌습니다. 이런 경향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더 강화될 것입니다.”

▷세계화 흐름도 되돌려지는 분위기입니다.

“그렇습니다. 중국에서 주로 부품을 사들이는 식의 글로벌 공급망 체계는 그동안 생산성을 높이고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역할을 해 왔습니다. 앞으로 서방 국가들은 중국에서 이전처럼 많은 물건을 사들이지 않을 것이고, 일부는 자기 지역에서 생산하려 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변화는 아직 전격적인 수준은 아닙니다. 특정 국가로 인한 리스크를 관리하는 ‘보험’을 드는 수준에 머물 것입니다. 한 가지 경우를 제외하고요.”

▷어떤 경우인가요.

“중국이 (국제 사회가 용인하는 수준을 넘어) 명시적으로 러시아에 무언가를 해줌으로써 2차 제재의 대상이 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한국을 비롯한 각국은 중국이냐 미국이냐 두 축의 (경제)블록 중 양자택일을 해야 하는 상황에 처합니다. 이런 상황이 벌어지지 않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그래야 한국도 두 축의 블록을 연결하는 역할을 계속할 수 있겠지요.”

▷자유무역에 대한 논리와 신뢰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동안 중국과의 자유무역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국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시키면 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중국이 정치적으로도 자유화돼 정상국가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죠. 그러나 중국은 전혀 그런 방향으로 가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중국 정부는 자국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할 자유, 미국 기업의 기술을 수입할 자유를 억누르는 중입니다. 세계의 기대에 역행하고 있는 셈이죠.”

▷달러화의 지위는 어떻게 될까요.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외화보유액에서 달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년 전 70%에서 현재 60%가량으로 낮아졌습니다. 해마다 0.5%포인트씩 빠진 셈이죠. 이 기간 달러의 자리를 꿰찬 것은 놀랍게도 달러를 포함해 ‘4대 통화’로 꼽혀온 유로화, 영국 파운드화, 일본 엔화가 아니었습니다. 빈자리의 4분의 1은 중국 위안화가 차지했죠. 나머지 4분의 3은 캐나다달러, 호주달러, 싱가포르달러, 스웨덴 크로나, 한국 원화 등 다양한 나라 통화로 채워졌습니다. 20년 전과 비교하면 상당한 변화죠. 달러가 러시아 경제 제재에 사용되면서 이런 변화는 한층 가속화할 것입니다.”

▷중국 위안화의 역할이 커지는 게 눈에 띕니다.

“달러의 상대적 중요성은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위안화가 그 자리를 대체할 정도가 되진 못할 것입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역시 예측하기 어려운 권위주의자이기 때문이죠. 위안화 지위가 계속 강화되기보다는 작은 통화를 중심으로 한 다변화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본격적인 금리 인상에 나섰습니다.

“세계 경제는 일시적으로 금리가 높아지는 환경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Fed가 올해 금리를 여섯 번 올리겠다고 분명한 신호를 보냈죠. 한번에 0.25%포인트씩 올리는 대신 0.5%포인트씩 올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소득 국가, 특히 부채비율이 높고 에너지를 수입하는 국가는 금리 인상(이자비용 증가), 에너지 가격 상승, 식료품 등 수입물가 상승 등 세 가지 악재를 한꺼번에 맞게 됩니다. 게다가 저소득 국가 중 상당수는 코로나19 통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상당수 저소득 국가가 큰 어려움에 처할 것입니다.”

▷한국은 어떨까요.

“해외 자본 의존도가 낮은 한국은 상대적으로 금리에 민감하지 않습니다. 코로나19도 어느 정도 통제하고 있고요. 하지만 에너지 수입 규모가 상당하기 때문에 글로벌 에너지 시장 변화의 영향은 크게 받을 것 같습니다. 유럽 등 주요 수출 지역 경기가 나빠지면 그 영향에도 노출될 것입니다.”

▷어떻게 대응해야 합니까.

“한두 해 안에 대응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닙니다. 녹색경제로의 전환, 에너지원 다양화 등을 통해 수입 에너지 의존도부터 낮춰야 합니다. 유럽이 현재 그렇게 하고 있고 한국 역시 에너지 구조 전환에 나설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탈원전 기조가 영향을 받을 것 같습니다.

“원자력 발전이 당분간 더 지속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원자력 발전을 하는 것과 푸틴의 천연가스에 의존하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안전할까요. 어려운 선택입니다만, 태양광과 풍력발전 등의 기술이 한층 더 발전할 때까지 원전을 잘 운영하는 게 낫습니다.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서도 그렇고요.”

▷최근 저서 《공공부채에 대한 옹호》를 통해 코로나19 상황에선 적극적 재정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부채를 무한정 늘릴 수는 없습니다. 다만 어떤 상한선을 ‘마법의 숫자’로 정해 놓고 무조건 지키는 방식은 맞지 않아요.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왜냐하면 적정한 부채비율은 금리 수준과 경제성장률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아직도 금리가 대단히 낮은 시기이고, 많은 국가가 더 높은 부채비율을 감당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봅니다.”

▷급격히 고령화하고 있는 한국에선 미래 세대에 부채를 물려주는 데 대한 부담이 있습니다.

“노동인구 증가가 둔화한다면 부채비율의 분모가 되는 국내총생산(GDP)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정 부채비율을 낮게 계산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생산성이 높아지면 적정 부채비율을 높게 계산할 수 있죠. 지금 해야 하는 것은 생산성을 높일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일입니다. 중요한 것은 조달한 자금이 ‘생산적인 일에 쓰이는가, 비생산적인 일에 쓰이는가’ 여부입니다.”

버클리=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